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의 구조적 안정성, 풍화 및 보존방안

Structural Stability, Weathering and Conservation Method of Granite Standing Sculptured Buddha at Hwangsang-dong, Kumi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비파괴진단연구실) ;
  • 최석원 (공주대학교 문화재비파괴진단연구실) ;
  • 서만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비파괴진단연구실) ;
  • 채상정 (공주대학교 문화재비파괴진단연구실)
  • Lee, Chan Hee (Nondestructive Research Laboratory of Cultural Proper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Suck Won (Nondestructive Research Laboratory of Cultural Proper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uh, Mancheol (Nondestructive Research Laboratory of Cultural Proper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ae, Sang Jeong (Nondestructive Research Laboratory of Cultural Proper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0.12.30

초록

구미시 황상동에 위치한 마애여래입상 (보물 제 1122 호)의 구성 암석은 흑운모-각섬석 화강섬록암으로서 약 30 여 개의 불연속적 동일 암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보관석은 역질 사암이다. 마애불 주변에 노출된 암괴의 대부분은 $N25{\sim}45^{\circ}W$의 주향과 거의 수직($70{\sim}85^{\circ}SE$)에 가까운 배면경사를 갖는 절리들이 발달되어 있다. 마애불 본체의 암괴들은 균열된 채 서로를 지지하고 있으나, 접합점에서는 심한 기계적 및 화학적 풍화를 받아 붕괴위험에 쳐해 있다. 또한 상부와 배면으로부터 발생하는 토압과 응력에 의하여 본체는 전면으로 두상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마애불을 이루는 암석의 풍화등급은 HW에 속하며, 조암 광물의 대부분은 화학적 및 광물학적 풍화에 의하여 점토 광물과 철수산화 광물로 교대되어 있다. 마애불의 표면에는 지의류와 선태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모근과 포자류가 암석의 생물학적 풍화를 촉진시키고 있고, 절리대에는 이미 토양화가 진행되어 잡초가 서식하고 있다. 보존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이 마애불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서는 불안정한 암괴의 제거가 필수적이며 불균형의 재발생과 마애불의 전면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암석 지지공법에 의한 본체의 지보가 필요하다. 균열이 심한 절리면에는 암석용 충진제를 사용하여 수경화 처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마애불에 미치는 지면의 습도를 저감하기 위한 차수벽 또는 차단막의 설치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표면에 피복된 지의류와 토양화가 진행된 불연속면에 서식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생화학적 처리가 필요하다.

Rock composition of the Hwangsang-dong Granite Standing Sculptured Buddha (Treasure No. 1122) in the Kumi City is biotite-hornblende granodiorite which consists of about 30 pieces of individual rock blocks of same compositions. However, the cap rocks is pebble-bearing coarse sandstone. Rock blocks of the Standing Buddha and surrounding out crops occur well developed several joint systems of $N25^{\circ}$ to $45^{\circ}W$ strike and nearly vertical (70 to $85^{\circ}SE$) dipping. Rock blocks of the Standing Buddha showed vertical, horizontal and oblique joints, and those blocks are well supported by individual blocks. However, the junction part of the blocks are under dangerous situation due 10 seriously mechanical and chemical weathering. Host rock of the Standing Buddha belongs to the HW grade, therefore mostly rock-forming minerals of the granodiorite Standing Buddha altered with clay and iron hydroxide minerals by mineralogical and chemical weathering. Near surface of the Standing Buddha show spore and mycelium of green algaes, and a joint plane alive with weeds. We suggest that if structural stability for the Standing Buddha remove essentially a unstable rock blocks from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necessitate supporting by rock bolting method because of repeated unstability and minimizing stress to the rock blocks. For the opened joint planes, fractured surface and alive weeds will attempt to fill in a petro-epoxy, petro-filler and biochemical treatments for the algaes, and ground water curtain and wall seems to be necessary for water flow and diminishing humidity of the Standing Buddh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