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Zostera Zosteraceae) 식물의 분포와 생육지 환경

Distribution of Zostera (Zosteraceae) ana Habita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이상용 (한양대학교 이과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 권천중 (한양대학교 이과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 최청일 (한양대학교 이과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LEE Sang Yong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KWON Chun Joong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CHOI Chung Il (Department of Earth and Marine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0.11.01

초록

한국산 거머리말속 중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식물의 분포와 생육지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6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중부 동해안의 화진포에서부터 남부 동해안 대변까지 조사하였다.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은 거머리말, 왕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 3종이 조사되었다. 거머리말 생육지는 기수호, 항과만의 수심 $1.3{\~}5.6 m$의 sand와 muddy sand 퇴적 환경에서, 왕거머리말은 수심 $8.5{\~}15.0 m$의 개방된 연안의 sand 퇴적 환경에서 출현하였다. 포기거머리말은 덕산항과 대변항에서 그 생육지가 처음 보고되었으며, 거머리말보다 깊은 지역에서 함께 생육하였다. 거머리말속의 식물 형태는 영양지와 생식지로 구분되었으며, 거머리말 영양지의 길이는 일산의 66.8cm에서부터 감포항의 110.0cm까지, 생식지의 길이는 화진포의 128.0cm에서부터 감포항의 277.8cm까지 생육 지역과 수심에 따라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왕거머리말은 영양지와 생식지가 $64.0{\~}75.7 cm$ 범위로 새로운 표현형으로 생육지의 수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포기거머리말은 영양지와 생식지가 64.9{\~}70.3 cm$로 생식지가 좀더 길게 성장하였다. 영양염의 농도는 동해 남부 지역이 중부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해안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식물의 분포는 퇴적 환경보다는 종에 따라 생육 장소(만, 항구와 개방 연안 등)와 수심에 영향을 받고, 수심과 같은 생육 환경의 차이는 식물체의 형태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Zostera (Zosteraceae)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were examined along with plant monohology, sediment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f seawater from June 1998 to July 2000,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species, Zostera marina, Z. asiatica and Z, caespitosa were found in specific habitats. The depth of habitat for Z. asiatica was deeper ($8.5{\~}15.0 m$) than that of Z. marina ($1.3{\~}5.6 m$) and Z. caespitosa ($3.2{\~}5.2 m$). Z. marina beds were observed at brackish-water, port and inner bay with the sediment type of sand or muddy sand. Habitats of Z. asiatica were restricted to the open bay with the sediment type of sand, Zostera have been described with regard to different growth forms of vegetation, flowering shoot and life history. Vegetation and flowering shoot length varied significantly with habitats; values ranged $66.8{\~}110.0 cm$ and $128.0{\~}217,8 cm$, respectively. Morphology of Z. marina varied with water depth and different substrat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 asiatica showed a new phenotype at the deeper water depth. Vegetation and flowering shoots of Z. caespitos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udy sites (values ranged from 64.9 cm to 70.3 cm). Nutrient concentrations of seawater were higher at southern part than at middle part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Distribution of Zostera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dependent upon differences in water depth and habitat environments, by which affected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were affec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