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신체의학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제8권1호
- /
- Pages.58-64
- /
- 2000
- /
- 1225-6471(pISSN)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 신체적 호소, 정서 및 어휘의 관계
The Relation of Alexithymia, Somatic Complaints, Emotion and Vocabulary
- 전현태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귀행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재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한주 (제일신경정신과의원) ;
- 유용진 (우리들신경정신과의원) ;
- 소광 (군산의료원 정신과)
- Jeon, Hyun-Ta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Kuy-Hae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Jae-Hy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Han-Joo (Jae-il Neuropsychiatric Clinic) ;
- Yoo, Yong-Jin (Wooleedl Neuropsychiatric Clinic) ;
- So, Kwang (Department of Psychiary, Kunsan Medical Center)
- 발행 : 2000.06.15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서 성격의 일반적인 특정으로서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신체적 호소, 정서상태 및 어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방법 : 신체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정상 성인에서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 신체적 호소, 연상한 단어의 수, 우울과 불안을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총 662명을 평가한 후 체계적 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다시 204명을 선택하였다. 결과 : 1) 감정표현불능증의 정도는 신체적 호소, 불안, 우울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신체적 호소는 불안, 우울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연상한 단어의 수는 나이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강정표현불능증의 정도는 연상한 단어의 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감정표현불능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신체적 호소는 더 많으며 이는 불안, 우울의 정도와 연관되어 있었으나 어휘의 양과는 유의한 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the somatic complaints, emotion, vocabulary and alexithymia as a component of personality in normal persons. Methods : 204 subjects were collected by age-based systematic sampling from the 662 persons without confirmed medical illness. We used the Korean version of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 to measure alexithymia. The somatic complaints were checked by the list of somatic symptoms on the diagnostic criteria of somatization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episode in DSM-IV. The vocabulary was evaluated by the total number of associating-words from the spontaneous association of word and the secondary association to given words. The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using 5-point self-report scale. Results : 1) The degree of alexithymi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omatic complaints, anxiety, depression. 2) The somatic complai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nxiety and depression. 3) The number of associating-word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ge. 4) The degree of alexithymia was not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associating-words. Conclusion : The more degree of alexithymia increased, the more somatic complaints appear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alexithymia, anxiety and depression. But the degree of alexithymia was not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vocabul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