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and Treatment of Somatization

신체화의 평가 및 치료

  • Koh, Kyung-Bo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고경봉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2.15

Abstract

Somatization is regarded as a process rather than a diagnostic entity. It should be emphasized to identify psychopathology rather than to make a choice regarding diagnosis in assessing somatizing patients. Psychiatrists should be aware of the psychosocial cues underlying the patients' physical symptoms. Special skills and strategies are required by nonpsychiatric physicians to facilitate the patients' acceptance of psychiatric treatment. The goal of treatment for somatization is management but not cure. The approach should be flexible, depending on the patients' responses and need. The difficulty in diagnosing and treating somatization is likely to be related to abnormal illness behavior such as the patients' denial of their psychosocial problem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approach. In conclusion, biopsychosocial approach is needed to treat these patients effectively. Psychiatrists should also teach other physicians the interview skill that they could identify these patients as early as possible and facilitate their acceptance of psychiatric treatment.

신체화는 진단보다는 오히려 일종의 과정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단순히 진단명을 선택하기보다는 정신병리를 알아 보려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신체형장애의 진단 및 치료의 어려움은 환자의 질병행동 즉 정신사회적 문제를 부정하여 정신과적 접근을 기피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신체증상 이면에 있는 정신사회적 문제에 대한 단서를 포착하는 것은 정신과의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이런 점에서 신체화 환자들에 대한 치료적 접근은 정신과적 치료에 대한 수용을 촉진할 수 있는 특정 기술과 전략이 요구된다. 신체화 환자의 치료목표는 완치가 아니라 관리에 있다. 치료는 환자의 반응과 필요성에 따라 융통성을 두어야 한다. 평가 및 치료 초기부터 여러 과가 공동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신체화의 평가 및 치료는 통합적인 접근 즉 생물정신사회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다른 신경증 환자에서보다는 생물의학적 접근이 더 강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런 환자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환자의 정신과적 치료의 수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신체형환자에게 적절한 접근 즉 면담기술을 개발해야 함은 물론 다른과 의사들을 교육시키는 것도 정신과의사가 해야 할 중요한 역할에 속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