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n the Shallow Subtidal Sandy Bottoms near Kangrung, East Coast of Korea

  • 발행 : 2000.11.30

초록

본 연구는 강릉 연안역의 사질퇴적상에 서식하는 저서동물군집의 분포양상을 보기 위해 1993년 4월부터 1994년 2월까지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전체 출현종수는 봄철에 109종으로 가장 많았고, 겨울철에 70종으로 가장 적었다. 다모류가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 가장 우점한 동물군이었고, 생물량에 있어서는 연체동물이 가장 우점한 동물군이었다. 전체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여름철에 1,995개체/m$^2$로 최대치를 보였고,가을철에 631개체/m$^2$로서 최소치를 보였다. 조사해역의 주요 우점종은 전 계절에 걸쳐 점하였던 다모류의 Spiophanes bombyx를 포함하여 Prionospio sp., 연체동물의 Alvenius ojianus, 갑각류의 Wecomedon sp.와 Urothoidae spp.였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해역의 저서동물은 크게 수심이 얕은 연안역과 수심이 깊은 외해역으로 구분되어져 수심에 의해 군집조성이 달라짐을 보였다. 그러나 가을철과 겨울철의 경우에는 남대천과 군성강 등 소규모 하천 주변해역에서는 외곽의 해역과는 군집조성이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benthos in the subtidal sandy bottoms of the east coast of Korea, and seasonal samplings were performed from April 1993 to February 1994. The species number of macrobenthos was in the range from 70 in winter to 109 in spring season. Polychaete worm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but mollusks showed the highest biomass.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fluctuated from 631 individuals/m$^2$ in autumn to 1,995 individuals/m$^2$ in summer. The major macrofauna in abundance were polychaetes, Spiophanes bombyx which occurred all seasons with top rank and Prionospio sp. and a mollusk, Alvenius ojianus, and crustaceans, Wecomedon sp. and Urothoidae spp. were also numerically dominant macrobenthic fauna. The macrobenthos in the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two assemblages by water depth. However, they showed a different community structure near small rivers in autumn and winter seas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연안 주요 패류자원 분포조사 보고서 강원도
  2. 한국해양학회지 v.25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신현출;고철환
  3. 한국해양학회지 v.27 영일만 다모류 군집의 계절별, 공간적 변화 신현철;최성순;고철환
  4. 한국해양학회지 v.27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 분포 아순모;고철환
  5. 한국수산학회지 v.20 황해의 저서군집내에서 다모류의 분포유형 이재학
  6. 한국수산학회지 v.22 황해의 저서군집내에서 다모류의 중요성과 종조성 이재학;진평
  7. 한국해양학회지 v.24 한국 동남해역 대륙붕과 대륙사면 표면퇴적물의 분포와 특성 이창복;박용안;최진용;김기범
  8. 한국수산학회지 v.28 영종도 주변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이재학;최진우;제종길
  9. 해양연구 v.20 서해 경기만 대부도 모래 갯벌에서의 대형저서동물 분포 최진우;김동성;신상호;제종길
  10. 월성 원자력 2호기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한국전력공사
  11. 영동화력발전소 인근 어촌계 공동어장 조사 한국해양연구소
  12. 해양 저서생물에 의한 환경평가 한국해양연구소
  13. 원자력 발전소 주변 환경조사보고서(방사능이외의 환경) 한전기술연구원
  14. 원자력 발전소 주변 환경조사보고서(방사능이외의 환경) 한전기술연구원
  15. Wat. Res. v.14 Biological monitoring. Part Ⅰ. Early warning systems Cairnsm Jr. J.;W.H. Van der Schalie
  16. J. Oceanol. Soc. Korea v.23 The polychaete assemblage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Choi, J.-W.;C.-H. Koh
  17. J. Oceanol. Soc. Korea v.25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worms on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of the East Sea (southwestern Sea of Japan) Choi, J.-W.;C.-H. Koh
  18. J. Oceanogr. Soc. Korea v.27 The distribution and feeding guilds of the polychaete community in the west coast off Kunsan, Korea Choi, J.-W.;C.-H. Koh
  19. J. Korean Soc. Oceanogr. v.29 macrobenthos community in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Choi, J.-W.;C.-H. Koh
  20. Oceanogr. Mar. Biol. Ann. Rev. v.12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Gray, J.S.
  21. Oceanographic studies for Kori Nuclear Power Plants KORDI
  22. Mar. Biol. v.95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fauna of the north shore of the Gulf of St. Lawrence described by numerical methods of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Long, B.;J.B. Lewis
  23. Mar. Biol. v.63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faunal benthic communities of the Ria de Muros, north-west Spain Lopez-Jamar, E.
  24. Mar. Biol. v.62 Polychaete feeding guilds from Georges Bank, USA Maurer, D.;W. Leathem
  25. J. Mar. Res. v.28 The influence of deposit-feeding organisms on the sediment stability and community trophic structure Rhoads, D.C.;D.K. Young
  26. J. Oceanogr. Soc. Korea v.24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acrofauna in the inter- and subtidal region of the inner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Shin, H.-C.;J.-W. Choi;C.-H. Koh
  27. Mar. Biol. v.115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ophiuroids on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of the East Sea (southwestern Sea of Japan), Korea Shin, H.C.;C.-H. Koh
  28. Cont. Shelf Res. v.8 Macrobenthos-sediment relationship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Cape Hatteras, North Carolina Weston, D.P.
  29. J. Fish. Res. Board Canada v.36 Tidal energy and sublitoral macrobenthic animals in estuaries Wildish, D.J.;D.D. Kristmanson
  30. Coastal Water Research Project. Annual Report The infaunal trophic index Word, J.Q.
  31. Bull. KORDI v.4 A study on the subtidal benthic community in Ulsan Bay, Korea Yi, S.K.;J.S. Hong;J.H.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