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s and Pollution History of Heavy Metals in Nakdong Estuary Sediments

낙동강 하구역 퇴적물 중금속의 분포와 오염의 역사 추정

  • Cho, Jin-Hyung (Marine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Laboratory,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ement Institute) ;
  • Park, Nam-Jo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ee-Hyu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조진형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 기후연구본부) ;
  • 박남준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 김기현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2000.11.30

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metals and prospect the recent metal pollution history in Nakdong Estuary, we took surface and core sediments. Maximum value of organic matter occurs at the upstream site located 4 km from Nakdong barrage, and the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Zn, Cu, and Pb etc.) decrease seaward in the estuary. The sedimentation rates, based on $^{210}$Pb$_{ex}$ and $^{137}$Cs activities, were 0.34 cm/yr in inside of barrage (core 1) and 0.25 cm/yr in Changrim (core 4). Sediment mixing layer does not exist in core 1, where anoxic condition is known to be prevail. The topmost sediment layer of core 4 (<3.5 cm) is severely mixed. At sites 1 and 4, concentrations of Cu slow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1920-1970, rapidly increased during 1970-1990, and followed by slight decrease after 1990. Zn contents increased in early 1960s and peaked in 1993, and followed by decrease after 1990s. Pb has increased continuously since early 1970s. At the downstream of the barrage, Cu and Zn have increased in the topmost layer. The trend of increase of Cu is evident after 1950 (11 cm in sediment depth). Overall trend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clearly indicates the pollution has been increasing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arrage.

낙동강 하구역 해저퇴적물중 중금속 함량의 수평적, 수직적 분포와 오염의 진행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5월과 9월에 표층 및 주상시료를 채취하였다. 유기물은 갑문의 안쪽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 미량금속인 Zn, Cu, Pb는 낙동강의 상류로 갈수록 많은 양이 농축되어 있다. 또한, 상류의 많은 공단에서 유입되는 폐수의 영향 때문에 국지적으로 중금속의 농축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퇴적물의 깊이별로 $^{210}$Pb$_{ex}$를 측정하여 퇴적속도를 추정한 결과, 낙동강 하류의 갑문안쪽 정점(정점 1)의 퇴적속도는 0.34cm/yr이며, 갑문 바깥쪽의 장림 앞(정점 4)에서는 0.25cm/yr로 나타났다. 정점 1에서는 퇴적물 혼합층(sediment mixing layer)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점 4는 퇴적층 상부 약 3.5cm까지 퇴적물이 혼합되어 있었다. 주상퇴적물 시료에서 오염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정점 1에서 많은 부분이 유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Cu는 1920년대부터 점차 퇴적층에 농축되기 시작하여 1970년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1990년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Zn은 1960년대 중반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부터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Pb는 197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점 4에서 인간에 의한 오염기원인 중금속중 Cu, Zn이 최상부 퇴적층에 급격히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u는 1950년대 중반(약 11 cin) 이후 부터 현저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낙동강 하구둑이 설치된 1987년을 기점으로 살펴보면, 정점 1에서 갑문 설치 후 중금속의 농도가 수직적으로 급격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난다. 기준으로 해수면자료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부분의 정점에서 표층 0${\sim}$0.25 cm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표층 0${\sim}$1 cm에 약 60%전후의 개체수가 밀집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중형저서생물의 위도에 따른 분포양상은 북위 5도에서의 표층수 수렴과 북위 8도에서의 표층수 발산으로 인한 수층의 일차생산력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0$^{10}$ ton yr$^{-1}$ Sv$^{-1}$)에 비해서는 2/3 수준으로 높다. 결론적으로 풍부한 화학물질들을 함유한 제주해류는 남해 및 동해의 생지화학적 과정들에 있어 상당히 중요함을 시사한다.다. 수조 상층수 중 Cu, Cd, As 농도는 모든 FW, SW수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성 있게 감소하였고, 제거속도는 Cu가 다른 원소에 비해 빨랐다. 제거속도는 FW 3개 수조 중 FW5&6에서 세 원소 모두 가장 느렸고, SW 3개 수조 중에서는 SW1&2에서 가장 빨랐다. SW와 FW간 제거속도 차이는 세 원소 모두 명확치 않았다 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Keywords

References

  1. 낙동강연구논총 v.1 낙동강 유역의 산업 김경호
  2. 한국어업기술학회지 v.22 낙동강하구 부근의 해양환경조사연구 박청길;조규대;허성회;김상곤;조창환
  3. 한국환경과학회지 v.4 진해만 퇴적물의 퇴적속도와 중금속 오염 양한섭;김성수;김규범
  4.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제종길
  5.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반도 주변해역 퇴적물중 금속원소의 분포와 기원에 관한 연구 조영길
  6. 한국해양학회지 v.29 남해대륙붕 표층퇴적물 중 중금속 원소의 분포 특성 조영길;이창복;최만식
  7.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마산만 퇴적물중 중금속의 분별작용과 오염의 역사 조진형
  8.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 퇴적물의 특성 및 퇴적환경 하정수
  9. 한국환경과학회지 v.5 낙동강 하류의 하상구조와 오염물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황선출;정성욱;박원우;김우성;이봉헌;박홍재
  10. 한국환경과학회지 v.6 낙동강, 서낙동강, 수영천 하구의 하상구조에 따른 연중 퇴적저토의 오염특성 연구와 부산근해 적조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황성출;이봉헌;박원우;정영언;박홍재;정성욱
  11. Chem. Geol. v.162 Importance of geomorphology and sedimentation process for metal dispersion in sediments and soils of the Gasga Plain: idenification of geochemical domains Ansari A.A.;I.B. Singh;H.J. Tobschall
  12. Heavy Metals in Solids (2nd ed.) Alloway, B.J.
  13. Mar. Chem. v.26 Determination of sediment composition and chronology as a tool for 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s Battiston G.A.;S. Degetto;R. Gerbasi;G. Sbrignadello
  14. Estuaries v.16 The history of Gu, Pb, and Zn inputs to Narraganset Bay, Rhode Island as recorded by salt-marsh sediments Bricker S.B.
  15. Environ. Sci. Technol. v.29 Normalization and elemental sediment contamination in the coastal united states Daskalakis K.D.;T.P. O'Connor
  16. J. Geophys. Res. v.94 Sediment processes in estuaries: future research requirements Dyer K.R.
  17. J. Sed. Petrol. v.27 A Study in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Folk R.L.;W.C. Ward
  18. Geol. Soc. Am. Bull. v.88 Transport phases of transition metals in the Amazon and Yukon Rivers Gibbs R.J.
  19. Geochronology with $^{210}Pb.$ In radoactive dating Goldberg E.D.
  20. Estuar. Coast. Mar. Sci. v.5 Pollution history of narragansett Bay as recorded in its sediments Goldberg E.D.;E. Gamble;J.J. Griffin;M. Koide
  21. Environ. Sci. Tech. v.13 Pollution history of Savannah River Estuary Goldberg E.D.;J.J. Griffin;V. Hodge;M. Koide;H. Widom
  22. Appl. Geochem. v.2 The relation of stream sediment surface area, grain size and composition to trace element chemistry Horwitz A.J.;K. Elrick
  23. J. Oceanogr. Soc. Japan v.40 Sedimentation rate and heavy metal pollution of sediments in the Seto Inland Sea, Part 2. Hiroshima By Hoshika A.;T. Shiozawa
  24. J. Oceanogr. Soc. Japan v.40 Heavy metal and accumulation rates of sediment in the Seto Inland Sea, Part3. Hiuchi-Nada Hoshika A.;T. Shiozawa
  25. Geochim. Cosmochim. Acta v.48 Modeling estuarine nutrient geochemistry in a simple system Kaul, L.W.;Froelich P.N.
  26. Anal. Chem. v.55 -ray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uranium-series nuclides in marine phosphrites Kim K.H.;W.C. Burnett
  27. Mar. Pollut. Bull. v.36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metals in surfacial sediments in Southwestern Taiwan Lee C.L.;M.D. Fang;M.T. Hsieh
  28. M.S. Thesis Seismic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al Process of Sediments in Jinhae Bay, Southeastern Coast of Korea Lee K.W.
  29. Ocean Res. v.10 History of heavy metal pollution in Masan and Ulsan Bay sediments Lee K.W.;D.S. Lee;S.H. Lee;E. Mastsumoto
  30. J. Oceanogr. Soc. Korea v.16 Heavy metals in the Nakdong Estuary Lee S.H.;D.S. Lee;E.S. Kim;H.S. Kwak;K.W. Lee
  31. J. Oceanogr. Soc. Korea v.25 A Study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Sediment processes and heavy metal distributions Lee Y.D;C.W. Kim
  32. Mar. Chem. v.34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PB, Zn, Cu, Cd), carbon and nitrogen in sediments from Strait of Georgia Macdonald, R.W.;D.M. Macdonald;M.C. O'Brien;C. Gobeil
  33. Russia. Estuar. Coast. Shelf Sci. v.48 Metals in the sediments and mussels of the Chupa Estuary (White Sea) Russia Millward G.E.;C. Rowley;T.K. Sands;R.J.M. Howland;A. Pantiulin
  34. Estuar. Coast. Shelf Sci. v.44 Multi-element chmistry of Loire Estuary sediments: Anthropogenic vs. natural sources Negrel Ph.
  35. Nature v.333 Quantitative assessment of worldwide contamination of air, water and soils by trace metals Nriagu J.O.;J.M. Pacyna
  36. Estuaries v.16 The concept of an equilibrium surface applied to particle sources and contaminant distributions in esturaine sidements Olsen C.R.;I.L. Larsen;P.J. Mulholand;K.L Von Damm;J.M Grebmeier;L.C. Schaferner;R.J. Diaz;M.M. Noichols
  37. Mar. Environ. Res. v.48 Heavy metal removal effiencies in a river-march system setimated from patterns of metal accumulation in sediments Rozan T.F.;G. Benoit
  38. Metals in the hydrocycle Salomons W.;U. Forstner
  39. Mar. Chem. v.30 Chemical Processes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Santschi P.;P. Hohener;G. Bernoit;M.B. Brink
  40. Geochim. Cosmochim. Acta v.48 Metal accumulation rates in northwest Atlantic pelagic sediments Thomson J.;M.S.N. Carpenter;S. Colley;T.R.S. Wilson;H. Elderfield;H. Kennedy
  41. Estuaries v.16 The use of sediment cores to reconstruct historical trends in contamination of estuarine and coastal sediments Valette-Silver N.J.
  42. Bull. Korean. Fish. Soc. v.27 Pollution of heavy metal and sedimentation rate in the sediments of Suyeong Bay, Pusan Yang H.S.;S.S.Kim
  43. Cont. Shelf Res. v.19 Heavy metal compositions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Changjiang (Yangtz River) estuary: significance of riverine transport to the ocean Zhang J.
  44. Mar. Chem. v.44 Sediment accumulation rates, historical input, postdepositional mobility and retention of major elements in salt marsh sediments of the Scheldt estuary Zwolsman J.J.G.;G.W. berger;G.T.M. Van Eck
  45. Estuar. Coast. Shelf Sci. v.43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sediments from the Scheldt Estuary, South-West Netherlands Zwolsman J.J.G;G.T.M. Van Eck;G. Ber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