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al Habitats around Munseom, Cheju Island, Korea - III. Seasonal and Diel Fluctuations of Gelatinous Zooplankton Biomass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 III.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계절 및 일 변동

  • Oh, Bong-Cheol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Lee, Jun-Back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wa, Jong-Hu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oh, You-Bo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오봉철 (국립수산진흥원 어장환경부) ;
  • 이준백 (제주대학교 해양학과) ;
  • 좌종헌 (제주대학교 해양학과) ;
  • 고유봉 (제주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2000.05.31

Abstract

The daily fluctuations of occurrence rate and standing stock of zooplankt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and wet weights of gelatinous zooplankton, and the size distributions of body length and body weight of zooplankton were investigated in the sea around Cheju Island from September 1996 to August 1997. Mean ratios of wet to dry weights were 66.46 (raging from 47.05 to 84.64) in the gelatinous zooplankton and 10.89 (raging 9.21 to 14.85) in the non-gelatinous zooplankton which consisted of crustaceans such as copepods, decapods, mysids, and ostracods etc. Rarios of gelatinous zooplankton to non-gelatinous zooplankton (G/NG) in wet weight was 0.99 (0.28-2.30), indicating high occurrence rate of gelatinous in the study area. The seasonal and diel fluctuations of the gelatinous zooplankton were very large, and G/NG ratios greatly varied with seasons and dat/night cycles. The size distributions of body length of zooplankton (250-500 urn: 35.5% in maximum), and wet (0.1-0.2 mg: 34.4%) and dry weights (0.025-0.05 mg: 44.8%) showed much difference depending composition of the zooplankton groups. These results show that quantitative estimations of zooplankton produc- tivity only based on wet weight should be corrected to better understand and evaluate marine resources in Korean waters.

동물플랑크톤 군집생산에 주요요인인 생물량의 시간적인 양적 및 질적 차이를 찾기 위해, 1996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특별히 고안된 표층 채집장치에 의해 시간별로 채집된 동물플랑크톤를 대상으로 계절별 출현개체수, 현존량의 일변동,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습중량과 건중량의 관계 및 동물플랑크톤의 체장과 체중에 의한 크기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건중량에 대한 습중량비(W/D)는 평균 66.46(47.05${\sim}$84.64)를 나타내고, 갑각류를 중심으로 한 일반 동물플랑크톤에서는 10.89(9.21${\sim}$14.85)로 6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습중량에서 일반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평균비(G/NG)는 0.99(0.28${\sim}$2.30)로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았다. 이러한 값들은 계절별 일 변동폭도 매우 컸으며, 이는 구성 종의 상대 출현율의 차에 따른 것이었고, 각 그룹의 동물플랑크톤 주야수직이동의 특성과 일치하였다. 또한 체장에 의한 크기분포(250${\sim}$500 ${\mu}m$: 35.5%)와 습중량(0.I${\sim}$0.2 mg: 34.4%)과 건중량(0.025${\sim}$0.05mg: 44.8%)에 의한 크기분포 양상은 구성생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습중량에 국한되어 조사된 대규모의 정량자료는 해역의 정확한 생물생산 추정을 통한 연안자원의 재평가를 위하여 다시 보정 ${\cdot}$ 해석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산학회지 v.29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특성 고유봉;오봉철;최영찬
  2. 제주대 해양연보 v.18 제주도 연안역 부유성 요각류의 출현과 주요종의 계절변화 고유봉;오봉철;고방연;손태준
  3. 제주의 바아-해양동물- 고유봉;오봉철
  4. 한국해양학회지 v.8 한국근해 동물성 부유생물의 주요군의 양적 분포 박주석
  5.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주도 남방 서귀포 연안산 산호의 종조성과 수직분포 서익범
  6.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주도 주변해역의 동물 plankton 생산량 추정과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오봉철
  7. 한국근해 30년 평균 동물 플랑크톤 현존량 및 변동범위(1965-1995) 한상복;강영실;오현주;장이현
  8. 한양대 석사논문 한국산 곤쟁이(Paracanthomysis hispida Ii)의 생태학적 연구 홍준화
  9. J.Kor.Earth Sci. v.10 Standing stocks and production of planktonic crustaceans around coast line of Cheju Island from June 1987 to April 1988 Go,Y.B.;J.B.Lee;Y.C.Choi
  10. Bull.Plankton Soc.Japan v.30 Regional difference in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 (CSK data) Hattori H.;S.Motoda
  11. Fish.Bull. v.76 Estimated zooplankton production and their ammonia excretion in the Kuroshio and adjacent seas Ikeda,T.;S.Motoda
  12. J.Oceanogr.Soc.Japan v.42 Standing stocks and production rate of phytoplankton and planktonic copepods in Inland Sea of Japan Uye,S.;K.Hiroshi;E.Tak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