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rt-term Variability of Carbon Dioxide within an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Case Study during 1995-1997

이산화탄소의 단주기적 농도변화 특성

  • Song, Ki-Bum (Depatment of Earth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Youn, Yong-Hoon (Korea Global Atmosphere Watch Observ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 Kim, Ki-Hyun (Depatment of Earth Sciences, Sejong University)
  • 송기범 (세종대학교 지구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 ;
  • 윤용훈 (기상연구소 지구대기감시관측소) ;
  •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
  • Published : 2000.10.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short-term variability of CO$_2$ concentrations over 24-h scale within an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ourse of our study, we compared the data sets obtained from Moo-Ahn (MAN) station located in the far 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with those determined from major background observatory stations around the world from the periods of Aug. 1995 to Dec. 1997. The mean CO$_2$ concentration of the MAN area for the whole study periods, when computed using the daily mean values, was found out to be 374.5${\pm}$6.6 ppm (N=884); seasonal mean values were found out to be 378${\pm}$5.2 (spring: N=181), 372${\pm}$10.2 (summer: N =210), 372${\pm}$7.2 (fall: N=243), and 376${\pm}$5.4 ppm (winter: N=206). When the data from MAN was compared with those of major background stations, the effects of both daily and seasonal components appear to vary distinctively across different stations. Those effects are expected to reflect the mixed effects of various factors which include: seasonal pollution patterns, weather conditions, vegetation, and so forth. Based upon this comparative analysis, we suspect that the MAN area is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anthropogenic source processes relative to all the other stations under consideration. If that is not the case, the existence of enhanced CO$_2$ level may be rather ubiquitous phenomena in Korea. More detailed inspection of CO$_2$ behavior from various respects is strongly desired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전남 무안지역을 중심으로 1995년 8월부터 1997년 12월의 총 884일 기간 동안 관측된 CO$_2$ 농도자료와 국외 주요 배경대기관측지점에서 관측된 농도자료를 토대로, CO$_2$의 단주기적 변화경향성에 대한 지역적 차이를 비교 해석하였다. 동기간 동안 무안지역에서 관측된 이산화탄소의 전체적인 일평균 농도는 374.5${\pm}$6.6ppm으로, 그리고 계절별로는 378${\pm}$5.2 (봄: N= 181), 372${\pm}$10.2 (여름: N=210), 372${\pm}$7.2 (가을: N=243), 376${\pm}$5.4ppm (겨울: N=206)의 평균치로 나타났다. 무안지역을 중심으로 관측된 일주기 경향성을 포인트 배로우(Point Barrow)를 위시한 주요 외국 관측점들과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단순히 일주기 중심의 경향성 (주야간대의 농도차이)에 덧붙여, 계절적 요인의 작용으로 인한 일주기의 계절별 변화요인 (진동폭 변화, 최고농도의 형성 시점 등)이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무안지역은 주야간대의 주기를 중심으로 볼 때, 여타 지역과는 정반대로 주저야고의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리고 일주기를 다시 계절적으로 비교하였을 때, 일일 내내 비교적 고농도가 지속되거나 (봄, 겨울철),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가 24시간동안 지속되는 경향 (여름, 가을철)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는 겨울철 연료의 과배출, 중국대륙으로부터 오염물질의 유입여부 등 연구지역 주변환경의 계절별 오염양상, 공기순환, 기상변화, 식생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볼 때, 여타 요인들에 비해 무안지역은 인위적 오염원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무안지역을 중심으로 한 농도변화의 경향성에 대한 해석은 여타 외국의 주요 관측점에 대한 결과와 달리, 한반도를 포괄하는 광역적인 차원의 배경농도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무안지역을 중심으로 보다 국부적인 차원에서 진행되는 농도변화를 반영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경향이 한반도에 광역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한 판단은 안면도를 중심으로 후속적으로 진행된 연구결과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대기환경학회 지구환경분과회 주최 세미나 지구대기 환경변화와 대응전략 김용표;권태규;강용수;이필재
  2.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10 no.4 제주도 고산 측정소에서의 대기오염 배경농도 측정 및 분석 박경윤;이호근;서명석;장광미;강창희;허철구;김영준
  3. 한국기상학회지 v.27 no.2 대기오염물질 수송과 관련된 동부 아시아 상층대기의 순환특성에 관한 연구 전종갑
  4. G-7 프로젝트 (지구 규모 대기 환경 기초 및 기반 기술) 개발 사업의 세부 과제-지구 대기 조성 변화감시의 제 2단계 3차년도 보고서 조하만(외)
  5. ICF consulting Introduction to Estim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EIIP
  6. Office of Mobile Source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7. EPA-454/R-98-008 National Air Pollutant Emission Trends Procedures Document, Sections 1, 4 and 6, 1985-1996, Projections 1999-2010 EPA
  8. National Air Pollutant Emissions Trends Report, 1900-1999 EPA
  9. National Air Pollutant Emissions Trends Report, 1900-1998 EPA
  10. Report of IPCC Working Gorup Ⅰ Climate change 1995 - Science of Climate Change (Including Summary for Policymakers) IPCC
  11. Revised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3 volumes) IPCC
  12. A special Report of IPCC Working Group Ⅱ The Regional Impacts of Climate Change: An Assessment of Vulnerability (Including Summary for Policymakers) IPCC
  13. Atmospheric Environment v.35 Some insights into short-term variability of total gaseous mercury in urban air Kim, K.-H.;Kim, 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