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st Strip Reflectometer Method as a Quick Test Procedure for Soil Nitrate Nitrogen

토양의 질산태 질소 간이검정

  • Published : 2000.10.30

Abstract

To find a quick test procedure for soil nitrate concentration, two methods, i.e. "Nitracheck 404" reflectometer (Eijkelkamp, Netherlands) with nitrate test strip and a portable colorimeter "Hanna Ion Specific meter(USA) with a color development reagent, were tested for twenty soils with different nitrate contents ranged between from $10mg\;kg^{-1}$ to $340mg\;kg^{-1}$. The standard deviation, coefficient of variability, and recovery from these quick test procedures were compared with those measured by conventional Kjeldahl distillation method and nitrate ion electrode method. The nitrate concentration measured by portable colorimeter method was higher in soils with low concentration and lower in soils with high concentration than those measured by conventional methods. However, concentrations measured by test strip reflectometer method was showed the similar coefficient of variability and recovery as those by conventional methods for all soil sampl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is study, the test strip reflectometer method was thought to be recommendable one revealed the satisfied results for accuracy, quickness, and simplicity for field test of soil nitrate concentration.

밭 토양 특히 시설재배 토양의 질소시비량을 결정하기 위한 효율적 검정법으로 확인된 $NO_3-N$의 간이 검정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Hanna Ion Specific meter를 이용한 비색법과 Test strip Reflectometer를 이용한 측정법을 선정하고, 실험실 분석법인 Specific Ion Meter에 의한 이온 전극법 및 Kjeldahl 증류법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방법은 토양중 $NO_3-N$ 함량이 $25mg\;kg^{-1}$$55mg\;kg^{-1}$인 두 토양에 대하여 각 분석방법을 7반복씩 수행하여 표준편차를 비교하였고, 두 토양에 $NO_3-N$ 표준용액을 첨가하여 $NO_3-N$ 함량이 각각 100, 150, 200, 250, $300mg\;kg^{-1}$인 표준농도 계열에 대하여 7반복으로 분석하여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NO_3-N$ 함량이 $10mg\;kg^{-1}$에서 $340mg\;kg^{-1}$으로 분포되는 시설재배 토양 20개 시료에 대하여 3반복씩 분석하여 $NO_3-N$ 농도에 따른 측정치의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에 따른 측정치의 신뢰도와 회수율은 이온 전극법이 가장 양호하였고 Kjeldahl 증류법, Test strip 간이법, Hanna 비색법의 순이었다. 간이 검정법에 따른 비교에서 Hanna 비색법은 낮은 농도와 높은 농도에서 큰 오차를 보였으나 Test strip 간이법은 실험실 정밀분석법인 이온 전극법 및 Kjeldahl 증류법과 버금가는 신뢰도와 95%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다. 따라서 단순한 분석절차와 짧은 분석시간을 고려해 볼 때 Test strip 간이법은 질소 시비량의 결정을 위한 현장의 간이 검정법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