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igin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by Kuroshio Intermediate Water in the ea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China Sea

동중국해 외대륙붕 저층수의 영양염 기원

  • 정창수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본부) ;
  • 홍기훈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본부) ;
  • 김석현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본부) ;
  • 김영일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본부) ;
  • 문덕수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본부) ;
  • 박준건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본부) ;
  • 박용철 (인하대학교 생물해양학부) ;
  •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본부) ;
  • 이흥재 (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본부)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The distribu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 contents were investigated along transection line J (30° N) in the eastern East China Sea in December 1993 and August 1994,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silicate in the Kuroshio Surface Water (KSW)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were low below 2μM and 5μM, respectively. However, these were increased sharply with depth and ranged from 20 to 40, 45 to 100μM, respectively, in the Kuroshio Intermediate Water (KIW).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nutrients suggests that Kuroshio Intermediate Water with rich nutrients were intruded into the bottom water of the outer continental shelf in the East China Sea. The bottom water of the outer continental shelf was made of two end-members mixing; nutrient depleted warm water and nutrient enriched cold water. Based on temperature, salinity and silicate concentration, the nutrients in the bottom water of the outer continental shelf suggusted to be supplied through the vertical mixing of Kuroshio subsurface water in the depth range of 100~400m. Upwelled nutrient rich water appears to be a important source of nutrients for primary production in the continental shelf area of the East China Sea.

1993년 12원과 1994년 8월 2회에 걸쳐 동중국해 동부해역 관측선 J (30° N)의 용존무기영양염들의 분포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온고염의 특성을 지닌 쿠로시오 표층수의 질산이온 및 규산농도는 각각 2μM 이하와 5μM 이하로 낮다. 반면에 수심이 증가할수록 질산이온 및 규산농도는 급격히 증가하여 쿠로시오 중층수에서는 각각 20~40, 45~100 μM 범위로 높았다. 대륙붕역 저층수와 쿠로시오 중퐁수의 수온과 용존무기영양염 관계는 용존무기영양염이 풍부한 쿠로시오 중층수가 대륙붕수로 관입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수온, 염분 및 규산 농도를 해수추적자로 이용하여 수괴득의 혼합을 분석한 결과, 대륙붕 저층수는 대륙붕단 바로 바깥쪽 수심 약 100~400 m의 쿠로시오 중층수와의 혼합수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같이 대륙붕단을 따라 대륙사면에서 대륙붕안으로 올라오는 높은 용존무기영양염 농도를 지닌 용승해수는 동중국해 대륙붕역의 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영양염 공급원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