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low and Sedimentation around the Embankment

방조제 부근에서의 흐름과 퇴적환경의 특성

  • Published : 2000.11.01

Abstract

Two-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and field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clarify some environmental variations in the flow and sedimentation in the adjacent seas after the construction of a tidal embankment. Velocities of flow and water levels in the bay decreas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barrage. When the freshwater was instantly released into the bay, the conditions of flow were unaltered, with the exception of a minor variation in velocities and tidal levels around the sluices at the ebb flow. The computational results showed that freshwater released at the low water reached the outside of the bay and then returned to the inside with the tidal currents at the high water. The front sea regions of the embankment had a variety of sedimentary phases such as a clayish silt, a silty clay and a sandy clayish silt. However, a clayish silt was prevalent in the middle of the bay. On the other hand, the skewness, which reflects the behaviour of sediments, was $\{pm}0.1$ at the front regions of the embankment while it was more than ±0.3 in the middle of the bay. Analytical results of drilling samples acquired from the front of the sluice gates showed that the lower part of the sediments consists of very fine silty or clayish grains. The upper surface layer consisted of shellfish, such as oyster or barnacle with a thickness of 40~50 cm.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lower part of the sediments would have been one of intertidal zones prior to the embankment construction while the upper shellfish layer would have been debris of shellfish farms formed in the adjacent sea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mbankment. This shows the difference of sedimentary phases reflected the influence of a tidal embankment construction.

전라남도 고흥반도에 인접한 해창만의 어장환경문제와 관련하여 방조제 축조후 주변해역에서의 흐름과 퇴적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 특히 수문개방시 일시에 다량으로 방류되는 담수가 인근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과 1998년의 두 차례에 걸친 현장조사와 해수유동 및 담수확산에 관한 2차원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방조제 체절후에는 체절전에비하여 유속이 전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조위는 방조제 부근에서 그 진폭이 다소 감소하였다. 방조제 수문을 통하여 담수를 방류한 경우, 전반적인 흐름 형태는 무방류시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간조시의 경우 방류한 담수의 영향으로 수문 부근에서 유속과 조위가 각각 다소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담수확산의 수치실험결과, 간조시에 담수는 만외까지 유출하지만, 만조시에는 서류하는 조류를 타고 다시 만의 안쪽까지 되돌아오는 경향을 보였다. 방조제 전면해역에서는 점토질의 실트, 실트질의 점토 및 사질점토질의 실트 등 다양한 퇴적상을 보였으나, 만의 중앙부에서는 점토질의 실트가 지배적이었다. 또한 퇴적물의 유동을 반영하는 왜도분포에서는 방조제 전면 해역에서 $\{pm}0.1$, 만의 중앙부에서 ±0.3 이상으로 양자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방조제 전면해역에서 시추한 시료의 분석결과, 하부는 실트와 점토질의 세립의 퇴적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부의 표층은 두께 약 40~50 cm정도의 굴, 바지락 등으로 구성된 패각층이 분포하였다. 이와 같은 하부의 퇴적상은 방조제 축조전의 조간대 퇴적상으로 추정되며, 상부의 패각층은 제방 축조후 주변해역에 형성된 패류 양식장으로부터 기인한 잔해일 가능성이 컸다. 즉, 이와 같은 퇴적상의 차이는 방조제 축조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