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between Reverse Redistribution and Subendocardial Myocardial Infarction Observed in Myocardial Contrast Echocardiography

역재분포 소견과 심근조영 심초음파에서 보인 심내막하경색과의 관계

  • Kim, Sung-E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Inha University Hospital) ;
  • Choe, Won-Sic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Inha University Hospital) ;
  • Kwan, Jun (Division of Car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 김성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과) ;
  • 최원식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과) ;
  • 권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심장내과)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pattern and nature of reverse redistribution (RR) in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In consecutive 20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I) patients, frequency of RR was correlated with that of subendocardial MI that was detected by myocardial contrast echocardiography (MCE). RR was judged to be present when there was more than one grade of worsening in perfusion at 24 hr delayed images compared with the initial rest images. MCE evaluated the significant lack of opacification in the subendocardial myocardium relative to the subepicardial myocardium to suggest the subendocardial MI. Kendall's nonparametric correlation coefficiency was calculated. Results: Concordant cases were 15 of 20 (75%) and correl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285).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RR was correlated with MCE-detected nontransmural MI.

목적: 역재분포(reverse redistribution)는 심근관류영상에서 초기 thallium 섭취가 정상이거나 정상에 가까운 지역이 재분포 영상에서는 결손으로 보이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역재분포의 특성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심근조영 심초음파(myocardial contrast echocardiography, MCE)에 의해 진단된 심내막하심근경색과 심근 SPECT 영상에서 관찰되는 역재분포를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대상및 방법: 급성심근경색으로 진단된 2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로 재혈관화 한 후에 심근조영 심초음파를 시행 한 후 24시간 이내에 심근 SPECT를 시행하였다. 심근조영 심초음파로 미세혈관분포에 대한 조영증강 정도를 세 단계로 평가하였고(1: 정상 조영증강, 0.5: 부분 조영증강, 0: 조영증강 없음) 심내막하경색의 진단은 심외막에만 국한되어 조영이 되고 심내막이 조영되지 않을 경우로 하였다. 심근관류 결손은 4단계(경도, 중등도, 고도, 정상)로 나누었고 24시간 지연영상에서 1단계 이상 나빠지는 경우 역재분포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다. 비모수적 Kendall 상관 계수를 SA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20예 중 15예(75%)가 일치하였다(8예는 양쪽 검사 모두에서 양성, 7예는 음성). 통계 분석상 심근조영심초음파 양성(심내막하 심근경색)인 예와 SPECT 양성(역재분포인 예)인 예의 사이에는 Kendall 상관계수가 0.5025였고 P값이 0.0285였다. 결론: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재혈관화치료 후에 관찰되는 역재분포 소견은 심근조영 심초음파에 보이는 심내막하 심근경색 소견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