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lbladder Ejection Fraction Using $^{99m}Tc$-DISIDA Scan in Diabetic Autonomic Neuropathy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에서 $^{99m}Tc$-DISIDA를 이용한 담낭 배출율에 관한 연구

  • Kim, Seong-Ja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In-Ju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Yong-Ki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An, Jun-Hy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oo, Seok-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ong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성장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김인주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김용기 (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안준협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
  • 유석동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2.29

Abstract

Purpose: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changes of gallbladder ejection fraction (GBEF) in diabetic patients with or without autonomic neuropath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7 diabetic patients (25 women, 12 men, mean age 51 years) and 24 normal controls (10 women, 14 men, mean age 38 year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185 MBq of $^{99m}Tc$-DISIDA, serial anterior abdominal images were acquired before and after fatty meal. Regions of interest were applied on gallbladder and right hepatic lobe on 60 and 90 minute images to calculate GBEF. Results: GBEF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diabetes with autonomic neuropathy ($43{\pm}12.3%$) and without autonomic neuropathy ($57.5{\pm}13.2%$)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68{\pm}11.6%$, p<0.05). And also, GBEF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diabetes with autonomic neuropathy compared with diabetes without autonomic neuropathy (p<0.05). Fasting blood glucose level, age, sex, hemoglobin Alc, body mass index, serum lipid level were not different in these two diabetic patient groups (p>0.05). When 50.2% of GBEF was used as the criteria for diabetic autonomic neuropath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80%, 76.5%, respectively. The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0.846. Conclusion: GBEF of diabetic patients with autonomic neuropathy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at of diabetic patients without autonomic neuropathy.

목적: 정상 대조군과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의 합병 유무에 따른 $^{99m}Tc$-DISIDA 스캔을 이용한 담낭 배출률의 변화 정도를 37명의 당뇨병 환자와 24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99m}Tc$-DISIDA 스캔은 검사 전날 저녁부터 금식한 상태에서 185 MBq의 $^{99m}Tc$-DISIDA를 정맥주사하고 저에너지 범용 조준기가 장착된 감마카메라(Vertex, ADAC)를 이용하여 주사 후 5분, 10분, 20분, 30분, 60분에 복부 전면상을 1분간 획득하였고 지방식을 먹인 후 30분에 다시 복부 전면상을 1분간 획득하였다. 담낭 배출률을 구하기 위해 60분 및 90분 영상의 담낭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였으며 배후 방사능 측정을 위해 간우엽에 담도를 피해 같은 화소 크기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였다. 각 담낭의 방사능 계수치는 배후 영역 방사능치를 제하고 구하였으며 담낭 배출률은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담낭 배출률=(60분 담낭 방사능 계수치-90분 담낭 방사능 계수치)${\div}$60분 담낭방사능 계수치${\times}$100 (%). 결과: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이 합병된 환자가 20명 이었으며 자율 신경병증이 없는 환자가 17명이었다.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이 동반된 환자의 담낭 배출률이 $43.12{\pm}12.3%$로 자율 신경병증이 없는 환자의 $57.5{\pm}13.2%$보다 의미 있게 감소되었으며, 정상인의 $68{\pm}11.6%$보다 두 환자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두 환자군 간의 혈중 지질 농도, 당화혈색소, 체질량 지수, 공복시 혈당, 지단백(a)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신자판단특성곡선 분석에서 얻은 담낭 배출률 50.2%를 기준으로 한 당뇨병성 자율 신경증의 진단 예민도와 특이도는 각각 80%와 76.5%였으며 곡선 아래 부분의 면적은 0.846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99m}Tc$-DISIDA 스캔을 이용하여 측정한 담낭 배출률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당뇨병 환자에서 감소되어 있었으며 자율 신경병증이 동반된 환군에서 동반되지 않은 군보다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