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in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ies of Anmyondo and Gunhung-Myon, Taean-Gun

안면도 및 태안군 근흥면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 Song, Ho-Ky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Kwan-S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Mi-J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i, Yoon-Eui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송호경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박관수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이선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이미정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지윤의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in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ies of Taean-Gun and Anmyondo were studied. The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in Anmyondo had two vegetation layers, lower-tree and herb layers, but the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in Anmyondo had three vegetation layers, subtree, shrub, and herb layers. Also the Koelreuteria paniculata was only the species of subtree layers in the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of Anmyondo, but the subtree layer in the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of Taean-Gun consisted of Pinus thunbergii, Cornus walteri, Celtis jessoensis, Celtis sinensis, and Evodia danielii. The soil organic matter, total N, available P, CEC, and exchangeable K, Ca, Mg, and Na concentrations were greater in the two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than in the adjacent forest. The range of soil pH in the two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ies were 6.3-7.0, but those in adjacent forests were 4.7-5.5. [Dierssen scale, Vegetation classification, Forest soil]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안면도 승언리의 모감주나무군락과 최근 발견된 태안군 근흥면 정죽리 모감주나무군락의 구조와 식생조성 및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안면도의 모감주나무군락은 아교목층과 초본층 만으로 구성된 단조로운 2층 구조인데 반하여 근흥면 정죽리의 모감주나무군락은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의 3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아교목층의 종조성에 있어서도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 자생지는 거의 모감주나무 단순림을 구성하고 있는데 반하여, 근흥면 정죽리의 모감주나무군락은 곰솔, 말채나무, 풍게나무, 팽나무, 쉬나무 등이 혼효되어 있다. 두 모감주나무군락 지역의 토양특성은 전질소함량, 유기물함량, 유효인산함량, CEC, E.C. 그리고 치환성 K, Ca, Mg, Na함량 등에서 가까이 위치한 침ㆍ활엽수의 산림토양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토양 pH는 6.3-7.0으로서, 근처에 있는 산림토양에서의 토양 pH 4.7-5.5보다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충북의 자연(식물편) 강상준;김홍은;이희선
  2. 월악산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3. 태안해안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4. 토양화학 분석법 농업진흥청농업기술연구소
  5. 환경생태학회지 v.13 no.1 원주시 성황림(천연기념물 제93호)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백길전;김갑태
  6. 한국수목도감 산림청 임업연구원
  7.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 v.24 no.1 우리 나라 서해안 지역의 곰솔 나무림의 생태학적 연구-태안해안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송호경;장규관;오동훈
  8. 자연보존 v.69 모감주나무의 생육지 양인석
  9. 한국의 천연기념물 윤무부;서민환;이유미
  10. 한국의 소나무 및 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Biomass 및 유기에너지 생산에 관한 연구 v.6 no.1 이수욱;박관화
  11. 한국식물학회지 v.1 no.1 모감주나무의 해류에 의한 전파 이영노
  12. 한국생태학회지 v.16 no.4 모감주나무 군락의 구조 및 유지 기작 이창석;김홍은;박현숙;강상준;조현제
  13. 자연보존 v.92 안면도의 삼림식생 이호준;전찬진;김종홍;전영문;전홍학;류병혁
  14. 천연기념물. 식물편. 임경빈
  15. 토양학 조성진;박천서;엄대익
  16. Pflanzensoziologie. 3. Auflage. Braun-Blanquet J
  17.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Miller HG;RL Donahue
  18. Gehoelze. Gartenflora. Band 1. Roloff A;A Baert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