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and Prospects on Venture Firm Accumulation Center: The Case of Kwan-Ak Venture Town

벤처기업집적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관악구 벤처타운 사례를 중심으로

  • 최지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s of venture firm accumulation center in the case of kwan-ak venture town. The survey shows most of companies have been founded since 1997. Their major items are software development and the average employees are under 10 workers. According to the questionary about the type of R&D and the level of innovation, technology innovation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 is advanced whereas tacit innovation like inter-firm cooperation is very weak. And the source of idea and information is concentrated on the within-firms and research cen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gional linkage, the dependence of production and R & D is large on kwan-ak-gu, but sales and information services have emphasis on Seoul area. In the light of the affiliation of inter-firm, they response sympathy with cooperation, but could not strengthen their commercial ties yet. At last, the policy for venture firm accumulation center must intend to make tacit measures through inventing of system instead of the simple means such as the assistance of location, finance and tax.

이 글에서는 관악구에 소재한 벤처집적시설물 사례로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벤처집적시설 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관악구 벤처집적시설에 입지한 업체들 대부분이 1997년 이후 설립된 신생업체들로 주로 소프트웨어개발을 담당하는 10명 이하의 소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업체들의 연구개발형태와 혁신성 정도를 살펴보면 신제품개발이나 기존제품개량과 같은 기술혁신분야는 상당히 앞서있는 반면, 기업간 공동연구와 같은 분야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개발에 필요한 정보나 아이디어의 출처를 살펴보면 기업내부와 대학연구기관 혹은 기업지원기관을 선택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기업활동은 지역연계를 살펴보면 생산과 연구개발은 관악구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큰 발전, 판매 및 정보서비스 비중은 서울시에 대한 의존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간 소속감을 묻는 질문에는 동일한 건물에 입주하고 있는 업체들끼리 동질감을 느끼고 애로사항 등을 공감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모임을 결성하거나 인력을 공유하는 등의 적극적인 유대관계는 만들어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향후 벤처집적시설에 대한 지원이 단순히 입지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cdot}$무형의 시스템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