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음나무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 식생구조 및 동태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Kalopanax septemlobus (Thunb.ex Murray) Koidz. in Gangwon-do

  • 발행 : 2000.10.01

초록

음나무 자생지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개체목 단위로 산재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음나무의 군집을 탐색하고, 인위적 간섭이 적고 보전상태가 양호한 강원도 흥정산, 발왕산, 가리왕산 지역을 대상으로 지형, 토양특성 등의 물리적 환경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1. 음나무 자생지의 입지환경 조사 결과 분포범위는 해발고 780~1,300m의 북서, 북동 및 북향을 중심으로 경사가 심한 산복-사면에 위치하였으며, 토양 산도는 5.81($\pm$0.05)로 비교적 중성에 가까운 토양이며, 양이온치환용량(C.E.C.)은 평균 22.30($\pm$8.1)(me/100g), 유기물함량 8.63($\pm$0.48)%로 비옥한 토양이였다. 2. 음나무의 평균 연륜 생장량은 1.60~2.41mm/year으로 발왕산이 2.41mm/year로 가장 높고, 가리왕산 1.98mm/year, 흥정산 1.60mm/year 순으로 생장량을 나타냈다. 초기 20년간의 생장량은 평균 생장량 보다 컸으나, 그 후는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TWINSPAN에 의한 군집의 분리는 지역간의 군집분리에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며, 음나무림의 평균 상대우점치 (MIV)는 흥정산지역 24.55%, 가리왕산지역 29.25% 그리고 발왕산지역 38.28%로 나타났으며, 종다양도는 전체적으로 1.3124~1.3992 범위를 보여 대체적으로 3개 지역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음나무 층위별 분포형(Morista's index)은 교목층, 아교목층 및 관목층이 각각 0.9629, 2.9570, 20.5419로 나타나 교목층은 임의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집중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종다양성 분석 결과 상대우점도의 범위가 0.1476~0.2065으로 몇몇 종에 의한 단순림을 이루지 않고 다수의 종에 의해 혼효되어 자생하고 있으며, 유사도지수는 64.31~64.54% 범위로 3개 조사지역간에 식생의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조사지의 상대우점치를 이용한 종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음나무는 사스레나무, 물참대, 까치박달나무 그리고 들메나무와는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린재나무 1%, 쪽동백, 고로쇠 나무, 나래회나무, 느릅나무는 5%수준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생태적 지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7. 직경급 분포에 의한 개체군의 생육 동태를 예측한 결과 흥정산 지역은 정규분포를 보여 앞으로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며, 발왕산의 경우에도 소경목에서 대경목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출현하여 음나무림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가리왕산의 경우는 치수나 어린 개체가 출현이 되지 않고 중경급과 높은 직경급의 개체의 밀도도 높지 않아 앞으로 이 집단에서는 음나무 집단의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Site characteristics,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Kalopanax septemlobus forests in Mt. Heungjeong, Mt. Balwang and Mt. Gariwang were studi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 for national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K. septemlobus forest in Gangwon-do of Korea. The K. septemlobus forests were distributed at 780m to 1,300m in altitude, steep slope, ridges-slope areas with facing northeast to northwest in good nutrition area. The annual diameter growth of those trees ranged 1.60mm to 2.41mm. Forty-three plots(20$\times$20m) were set up at three natural population of Kalopanax septemlobus forest and TWINSPAN method was used for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 of TWINSPAN ordination show that geographical features played a role in determining community types in the study areas. Community type of the study are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TWINSPAN; K. septemlobus-Quercux mongolica- Acer mono community(Mt. Balwang), K. septemlobus-Q. mongolica- Tilia amurensis community(Mt. Heungjeong), K. septemlobus-Betula costata-Q. mongolica community(Mt. Gariwang). In most of the K. septemlobus forests, major woody species appeared predominantly were Q. mongolica, T. amurensis, Acer pseudo-sieboldianum, Lindera obtusiloba, A. mono, Magnolia sieboldii,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nd also, Those species were surveyed in all the areas.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s ranged 0.3124~0.13992 and this valu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forests with similar site. The range of similarity indices between surveyed areas was 64.1~64.54%.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orista's index show that Kalopanax septemlobus distributed randomly in tree and concentrated a few sample plots in subtree layer and shurb layer. K. septemlobus occupied 37.1~58.8% of tree layer story, 8.4~17.6% of subtree layer, 0~0.38% of shurb layer each surveyed area. The association analysis showed that Kalopanax septemlobu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tula ermani, Deutzia glabrata, Carpinus cordata, Fraxinus mandshurica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ymplocos chinensis var. pilosa, Styrax obassia, Acer mono, Euonymus macropter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Kalopanax septemlobus community, the community of Mt. Gariwang will gradually decline and replaced by Quercus community. The communities of Mt. Heungjeong and Mt. Balwang has its seedlings and saplings, so it may be sustained.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임학회지 v.87 no.3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지역 음나무의 입지환경 및 생장특성 강호상;이돈구
  2. 한국생태학회지 v.10 no.1 칠갑산의 식생 고재기;임양제
  3. 한국임학회지 v.89 no.1 황칠나무 분포임지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김세현
  4. 한국임학회지 v.84 no.4 점봉산 신갈나무의 갱신과 정에 관한 연구 김성덕;김윤동
  5. 임육연보 v.28 중부지방 가래나무 임분의 식생에 관한 연구 김영중;신창호;나천수;김세현
  6. 한국자원식물학회지(별책 2호) v.11 엄나무 유래 신규 황산화물질 김영희;김종평;윤봉식;문석식;유익동
  7. 토양화학분석법-토양·식물체·토양미생물 농촌진흥청
  8.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9. 환경생태학회지 v.9 no.2 오대산 국립공원지역 계곡부의 해발고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박인협;류석봉;김례화
  10. 한국임학회지 v.85 no.2 가야산 소나무 군락의 구조 및 동태 배관호;홍성천
  11. 한국임학회지 v.87 no.3 지리산 물박달나무의 식생구조와 동태 안현철;이정환
  12.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이춘영;박수현
  13.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육창수
  14. 한국임학회지 v.77 no.10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에 있어서 해송림의 생태학적 연구 이강령
  15. 한식지 v.33 no.3 Classfication및 Ordination방법에 의한 용문산삼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 이경재;조재창;류창희
  16. 응생연보 v.3 no.1 Classfication및 Ordination방법에 의한 가야산 지구의 식물군집구조분석 이경재;조재창;우종서
  17. 한임지 v.79 no.2 광릉삼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I)-Classfication및 Ordination방법에 의한 소리봉지역 식생분석 이경재;조재창;이봉수;이도석
  18. 환경생태학회지 v.9 no.2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지역의 사면·해발고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이경재;조우;황서현;임경빈
  19. 국유림 경영 현대화 신학 협동 실현 연구보고서(Ⅶ) 이돈구;조재창;김영수;강호상;김영환
  20.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21. 한국임학회지 v.54 한국의 산림 토양에 관한 연구(Ⅱ) 이수배
  22. 수목학(5판) 향문사
  2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24. 한국생태학회지 v.16 no.4 모감주나무 군락의 구조 및 유기기작 이창석;김홍은;박현숙;강상준;조현배
  25. 특용수재배학 임경빈
  26.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원도 신갈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장규관
  27. 향약대사전 정보섭;신민교
  28. 조선식물명집 조선생물학회편 정태현;도봉섭;심학진
  29.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30. 유용활엽수조림기술 최문길;정성호
  31. 日本林學會 北海道支講演集 v.31 八月に おける 北海道産廣葉樹の光-光合成速度關係 小池孝良;坂上辛雄
  32. 朝滿實用林業便覽 鈴木德二
  33. 北林試年報 v.30 落葉廣葉樹の種子繁殖に關する生態學的硏究 水井德雄
  34. 有用樹木圖說 林彌榮
  35. 北方落葉廣葉樹のタネ 林德典
  36. 北方地區 刺楸種子休眠原因 及 解除休眠的硏究 v.2 許紹惠;韓忠環;劉財富
  37. J. Ecology v.49 The ecology of Juncus effusus L. in north wales Agnew, A. D.Q.
  38. Vegetatio v.76 Effects of spring and autumn fires on the composition of Chionochlora rigida tussock Allen, R.B.;T.R. Partridage
  39. Vegetation v.35 Use of ordination and other multivariate description methods to study succession Austin, M.P.
  40. Terrestrial plant ecology Barhour, M. G.;J. H. Burk;W. D. Pitts
  41.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Brower, J. E.;J. H. Zar
  42. Ecology v.47 no.3 Buell, M. F.;A. N. Langford;D. W. Davidson;L. F. Ohman
  43.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v.54 Antioxidative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in leaves of Kalopanax pictum $N_{AKAI}$, Antioxidative activity of floavonoids in leaves of Kalopanax pictum $N_{AKAI}$ Choi, S. W.
  44. Ecology v.32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Curtis, J. T.; R. P. McIntosh
  45. J. Ecology v.63 Competition and stand structure in some even-aged plant mono culture Ford, E. D.
  46. DECOR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Hill, M. O.
  47. J. Jap. For. Soc. v.60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condition and circulation of nutrients in forest ecosystem(Ⅴ). the difference in nutrient circulation between stand located on upper part of slope and lower part of slope and lower part of slope Katagiri, S.;T. Tsutsumi
  48. Biol. Pharm Bull v.21 no.4 Metabolism of kalosaponin B and H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their Metabolite Kim, D. H.;K. W. Yu;H. J. Park;J. W. Choi
  49. Kor. J. Pharmcogn v.26 no.2 Chemic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Kalipanacis cortex Lee, C. J.;M. Y. Park;H. J. Cha, B. C.;Cho, S. H.
  50. J. Ecology v.66 Stand structure and allometry of trees during seft-thining of pure stand Mohler, C. L;P. L. Marks;D. G. Sprugel
  51. For. exp. Sta. Govern. Chosen In, Flora Sylvatica Koreana Naki, T.
  52. Planta. Med. v.58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alopanax septemlobust Porzel A.;T. V. Sung;J. Schmidt;M. Lischewski;G. Adam
  53. Chem. Pharm. Bull v.38 no.4 Saponins form Leaves of Kalopanx pictus $N_{AKAI}$,Harigiri. structures of Kalopanax-saponins JLa and JLb Shao, C. J.;Kassi, R.;Ohtani, K.; Kohda, H.
  54. Chem. Pharm. Bull v.37 no.2 Saponins form roots of Kalopanax septemlobust $K_{OIZI}$, Cique. strures of Kalopanax-saponins C, D, and F. Shao, C. J.;Kassi, R.;Xu, J. D.;Tanaka O.
  55. The Forest Nursery Sus, N. I.
  56. Ecology v.42 no.3 The altitudinal limits of vascular plants Webster, G. L.
  57. Ecol. Monographs v.2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Whittaker, R. H.
  58. Bul. of For. Exp. Sta. of Chosen v.22 Yusura H.;D. G. T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