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Korean Gypsy Moth Populations at Different Phases and Trapping of Males by Disparlure Baited Milk Carton Trap

매미나방 개체군 변화의 단계별 특징과 페로몬 트랩에 의한 포획 효과

  • 이장훈 (동국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 이해풍 (동국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Published : 2000.02.01

Abstract

Field collections were made from six gypsy moth (Lymantria dispar L.) Populations in Kyonggy and Cheju areas during the period 1987∼1997. Characteristics of gypsy moth populations at different phases were examined in terms of egg mass density, relative larval density, plant damage, and fecundity. Males captured in pheromone trap were recorded, and we examined if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numbers captured and the population density during the following generation. Egg mass density was closely related with larval density, and furthermore these densi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plant damage, indicating that larval dispersion was limited in oviposition areas. The gypsy moth population cycle was short in Korea with the period from population development to innocuous level usually lasting 2∼3 years. Male caught by pheromone trap (mean number of males caught per trap per day in peak emergence peri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g mass densities in the following season (r²=0.93). A low fecundity was detected from outbreak populations which accompanied defoliation. Fecundity of gypsy moth ranged from 538 to 601 at other phases.

본 조사는 매미나방 개체군의 전이단계에 따른 질적 그리고 수량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7∼1997까지 중부지방 및 제주도에서 발생 했던 일부 개체군을 대상으로 유충밀도, 난괴 밀도, 산란량, 식물피해 정도 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합성 페로몬인(+)disparlure와 우유 용기형 트랩(USDA-Milk carton trap)을 설치하여 수컷의 우화 패턴, 포획량과 난괴 밀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유충의 밀도는 난괴의 밀도와 식물 피해정도 등과 일치하여 매미나방의 유충의 분산이 주로 산란 지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매미나방 발생으로 인한 피해기간은 비교적 짧았으며 개체군 증가 이후 무해기까지의 경과기간은 2∼3년으로 나타났다. 산란량은 개체군 단계별 특성을 보였는데 폭발 단계를 경험한 개체군은 평균 산란수가 336.3 ± 161로 폭발 단계를 거치지 않은 개체군의 산란 수(537∼601) 보다 상당히 낮았다. 최근 개체군 전이단계를 경험한 개체군에서는 산란량의 변이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여러 해 동안 개체군의 변화로 인한 피해가 없었던 남산에서의 매미나방 산란량은 537±24 로 난괴간의 변이가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페로몬 트랩에 의한 포획성적(우화 최성기의 평균 포획 수컷 수/일)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다음 세대의 난괴 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²=0.93).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