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Species Associations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in Community

군락내 공간적 분석에 의한 세 종간 상관관계

  • Published : 2000.02.01

Abstra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llelic frequencies was studied in the natural population of three species (Ligustrum obtusiflolium, Alnus japonica, and Pinus densflora).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the crown-cover centers were compared between two populations in forests. L. obtusifolium and p. densiflora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as measured by Moran's I. In P densiflora, the genetic similarity was shown by individuals within up to a scale of 18 m distance and this is partly due to combination of pollen dispersal and long distance seed dispersal by wind or men. In L. obtusifolium, population structure in the distribution of allelic frequencies is related to mating systems and is consisted of a scale of 12.5 m intervals. No spatial structuring of allele frequencies was found for polymorphic enzyme loci within a natural population of Alnus japonica. The results also in- dicate that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L. obtusifolium and P densiflora can occur when both select the same habitat or have the same environmental requirements.

소나무(Pinus densiflora),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그리고 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생태적, 유전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소나무와 쥐똥나무의 생태적 공간관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쥐똥나무와 오리나무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oran의 I값과 표준편차(SND: standard normal deviate)값에 의하면 소나무는 18 m에서 집단구조를 형성 한 반면, 쥐똥나무는 12.5 m간격으로 집단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오리나무는 명확한 집단구조가 결여되어 있었다. 소나무와 쥐똥나무의 두 종간의 공간구조에 있어, 유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형성 된 것은 소나무의 수관이 비교적 좁고, 적절한 피음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쥐똥나무의 생육에 기여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오리나무와 쥐똥나무의 경우, 광합성과 관련한 수광경쟁에서 비교적 넓은 오리나무의 수관 때문에,두 종간의 동소적 관계가 방해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