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rgonomic features and Their Improvements in Pen Design

필기구 디자인의 인간공학적 제요소와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재환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 산업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Writing instruments or pens have many features not commonly found in other products in terms of their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use. That is, different pens are usually composed of almost identical parts and/or structure. The fact they work always grabbed in hands considered, the ergonomic design of pens is essential. Reports indicate consumers evaluate pens in writing comfort above all other factors when they select pens. Amo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writing comfort, it shouldspecifically be the ergonomic improvements that design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Studies on the pen-grabbing comfort or on approach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work relationships generally lack when compared with fashion-conscious aesthetic approaches to pen design.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reestablish the ergonomic design criteria including the necessities of specifications required to provide indispensable data for the pen design processes. Consequently, it should produce basic set of information for systematic approach to pen design and development, which is commonly called'concurrent engineering'. Also a cost-effective solution for product diversification strategy could be attributed to a modular system databas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attempt.

필기구는 그 구조와 사용특성상 여타 제품과는 다른 특징을 많이 띠는 제품이다. 즉, 다양한 종류의 필기구라 할지라도 대체로 공통적인 구조나 부품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또한 제품 전체가 항상 손에 잡혀져 필기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이 필수적인 제품이다. 소비자들이 필기구를 고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가 필기감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스타일링 위주의 디자인을 행하기 보다 필기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에서도 디자인이 기여할 수 있는 인간공학적인 개선이 매우 유효한 개선 방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도 인간과 일의 이해를 바탕으로한 인간공학 (Ergonomics)적 접근이나 필기구를 쥐었을 때의 편안함 등에 대한 문제해결은 부족한 면이 적지 않으며, 인간과 일의 관계에 의해 인간사회는 유지되며 독특한 문화를 형성한다는 근본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필기구 디자인은 문화적인 차원에서의 인간공학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필기구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크라이테리어를 재정립하고, 실제 실험을 통하여 필기구가 가져야하는 기본적인 제원에 대하여 정리하여 향후 필기구 개발에 기초자료로 쓰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필기구 개발의 통합적 전개, 즉 동시공학적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나 각 부품별 모듈 시스템을 통한 모델 다각화 전략의 초석이 되는 데이터베이스 개발에도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