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놀이 악기음의 소리분석에 관한 연구

On a Sound Analysis of Samulnori Instruments

  • 발행 : 2000.1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사물놀이 소리를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사물놀이의 4가지 악기는 서로 다른 소리의 높낮이 특성에 의해 음양 (陰陽)의 조화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가 귀로 느낄 수 있는 소리의 범위를 완전히 커버하고 있다. 그리고, 징과 장구 소리를 들었을 때 다시 한번 더 듣고 싶은 친근감을 느끼게 피는데, 그 원인으로는 징소리와 장구의 기본 진동수가 사람의 남녀 목소리의 기본진동수와 자자 근접하기 때문이다. 즉, 징소리와 장구소리를 들으면 사람의 목소리로 응답하는 듯한 친근함과 정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인간은 소리를 귀로만 느끼지 않고 피부를 통해 진동으로도 느끼게 되는데, 사물놀이에서 북, 징, 장구는 그러한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samulnori by the sound analysis techniques. Four instruments of samulnori are constituted with the dual principle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the male and female) which mean the harmony of each instruments high and low sounds. These sounds are covered the audible whole sounds. Since the fundamental frequencies of jing and janggu sounds are similar to the fundamental frequencies of male and female speech respectively, we feel the affection when we hear the sounds of jing and janggu. Additionally, since human feels the sound not only by ears, but also by the vibration to the skin, the put jing and janggu have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the vib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사물놀이란 무엇인가 김헌선
  2. 사물놀이/한국전통예술연구보존회 편. 1: 장고 한국전통예술연구보존회(편)
  3. 김용배의 삶과 예술: 그 위대한 사물놀이의 서사시 김헌선
  4. 농악교본: 농악. 사물놀이의 역사. 이론. 실제. 권희덕
  5. 한국음악/국립국악원[편] v.24 국립국악원
  6. Voice and Speech Processing T.Parsons
  7. Speech Communications(second edition) D. O'Shaughnes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