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Evaluation of Deferred Locking With Shadow Transaction

그림자 트랜잭션을 이용한 지연 로킹 기법의 성능 평가

  • 권혁민 (세명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Client-server DBMS based on a data-skipping model can exploit client resources effectively by allowing inter-transaction caching. However, inter-transaction caching raises the need of transactional cache consistency maintenance(TCCM) protocol, since each client is able to cache a portion of the database dynamically. Detection-based TCCM schemes can reduce the message overhead required for cache consistency if they validate clients replica asynchronously, and thus they cm show high throughput rates. However, they tend to show high ratios of transaction abort since transactions can access invalid replica. For coping with this drawback, this paper develops a new notion of shadow transaction, which is a backup-purpose one that is kept ready to replace an aborted transaction. This paper proposes a new detection-based TCCM scheme named DL-ST on the basis of the notion of shadow transaction. Using a simulation model, this paper evaluates the effect of shadow transaction in terms of transaction through rate and abort ratio.

데이타전송(data-shipping) 모델에 근간을 둔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DBMS는 트랜잭션간 캐슁(inter-transaction caching)을 허용함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잭션간 캐슁을 허용하면 각 클라이언트는 데이타베이스의 일부분을 동적으로 캐슁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랜잭션 캐쉬 일관성 유지(transactional cache consistency maintenance: TCCM) 기법의 필요성을 야기한다. 검사기반 TCCM 기법은 클라이언트 중복사본의 유효성을 비동기적으로 검증하면 캐쉬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메시지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트랜잭션 처리율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트랜잭션들이 유효하지 않은 중복사본을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랜잭션 철회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 단점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철회되는 트랜잭션 대신에 실행되기 위하여 관리되는 백업 목적의 트랜잭션인 그림자 트랜잭션의 개념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그림자 트랜잭션의 개념에 기초하여 DL-ST로 명명된 새로운 검사기반의 TCCM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트랜잭션 처리율과 철회율 관점에서 그림자 트랜잭션의 효과를 평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