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Agricultural Occupations of Korean Immigrants at the Russian Far East

러시아 극동지역 한인이주민의 직업에 대한 연구: 비농업직(非農業職)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0.01.01

Abstract

The paper examines non-agricultural occupations of Korean immigrants in the Russian Far East from 1860s to 1930s. First of all, theoretical perspectives regarding immigrants\` job selection and positio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cultural theory, segmented labor market theory, human capital theory, and ethnic enclave theory were reviewed and then how these theories can be applied to various jobs of Korean immigrants including mining, fishing, small business, service, and miscellaneous jobs was studied. Next.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ose theories cannot explain both supply and demand sides of migration simultaneously, suggesting the need to integrate two sides of migration. In order to fill out this gap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suggests the integrative approach which combines supply side and demand side of migration. According to this model, several factors in the non-agricultural jabs which were affecting Korean immigr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in relation with existing theoretical perspectives.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Koran migr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properly, we have to take into consideration simultaneously both supply-sided factors of immigration including farming-oriented characteristics of Koreans, Korean socio-economic problems preceding immigration, and self-dependent tendencies of Korean immigrants and demand-side factor like the Russian migration policy to the immigrants and various regional situations in the Russian Far East.

본 논문에서는 186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비농업직을 중심으로 하여 러시아 극동지역의 한인 이주민의 직업에 관하여 고찰한다. 먼저 이주민의 직업선택과 노동시장에서의 위치에 관한 이론들 즉 문화이론, 분절노동시종이론, 인적자본론 및 인종적 특수시장이론 등을 살펴보고 이들 이론이 러시아 극동지역 이주한인의 직업들 중 농업을 제외한 여러 가지 직종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검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존 이론들에서는 이주민의 직업에 관한 공급적 측면과 수요적 측면을 모두 분리하여 고찰하고 있다는 한계성을 지적한다.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극동지역 한인 이주민의 사례를 들어 이주민의 직업에 관한 두 가지 측면을 모두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위해 공급적·수요적 측면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통합적 모델을 제시한 후 이러한 모델에 따라 러시아 극동지역 한인이주민의 직업에 영향을 키친 요인들을 광업, 어업, 자영업종, 서비스직종, 기타 단순 노무직 등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이주의 통합적 모형에서 공급적 측면에 포함되는 것으로서는 한인의 농업중심적 성격, 이민직전의 조선에서의 사회경제적 모순 및 한인의 자급자족적 성격 등과 수요적 측면에서는 러시아의 이민정책과 러시아 극동의 다양한 지역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