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하천 유황의 해석

Analysis of River Flow Change Based on Some Scenarios of Global Warming

  • 신사철 (안동대학교토목환경공학과)
  • Sin, Sa-Cheol (Dept. of Civil & Environmental Engrg., Andong National Univ.)
  • 발행 : 2000.10.01

초록

온난화에 의한 하천유역의 수문응답(강우유출, 특히 일단위의 유황)의 변화양상을 수치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따른 온난화의 진행으로 야기되는 수문학적 평가는 많은 관측자료를 필요로 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장래의 기후를 예측하는 수단으로서 적정한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상정할 수 있는 시나리오 중 기온은 $0^{\circ}C$에서 $4.0^{\circ}C$까지 변화하며 강수량은 15%까지 증감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불확실성이 큰 지구온난화의 문제에 대하여 간단하면서 명확한 가정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대상 유역인 안동댐 유역에 대한 장래의 하천 유량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야기되는 강수량을 발생시켜 탱크모형에 의하여 일 유량을 모의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30년을이산화탄소 농도가 배증되는 시점($2{\times}CO_2$), 2010년, 2050년을 각각 $(1.5{\times}CO_2),\;(1.75{\times}CO_2),\;(2.5{\times}CO_2)$로 설정하였으며, 이 시기에 대한 하천유화의 해석 및 온난화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와의 비교검토를 실시하였다.

This study describes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on river flow response due to global warming. Forecasts of changes in climatic conditions are required to estimate the hydrologic effects of increasing trace gas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However, reliable forecasts of regional climate change are unavailable. In there absence, various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scenarios of future climatic conditions are used. The approach in this study is to prescribe climatic changes for a river basin in a simplified manner. As a rule, such scenarios specify air temperature increases from $0^{\circ}C\;to\;4.0^{\circ}C$ and precipitation chang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range of 0% to 15%. On the basis of acceptable supposition of warming scenarios. future daily streamflow is simulated using rainfall-runoff model in the Andong Dam basin. The numerical experiments have quantitatively revealed the change of discharge at 2010, 2020, 2030 and 2050 for each warming scenarios and compared it with the results for a non-warmmg scenano.cenano.

키워드

참고문헌

  1. 서규우 (1998).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1권, 제4호, pp 103-106
  2. 오재호, 홍성길 (1995) '대기중 $CO_2$ 증가에 따른 한반도 강수량 변화', 한국수자원학회지, 제28권, 제3호, pp. 143-157
  3. 윤용남, 유철상, 이재수, 안재현 (1999).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홍수 및 가뭄의 발생빈도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41-146
  4. 윤용남, 이재수, 유철상, 안재현 (1999)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65-170
  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3).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포지움 기상청
  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환경관련 대책연구 과학기술처
  7. 한국수자원공사 (1997). '97 안동댐 유량측정 보고서
  8. 한국수자원공사 (1998). '98 안동댐 유량측정 보고서
  9. 한국수자원공사 (1999). '99 안동댐 유량측정 보고서
  10. 菅原正巳 (1972) 流出解析法, 共立出版
  11. 菅原正巳 (1979) 續, 流出解析法, 共立出版
  12. 榧根 勇 (1988). 水と氣象. 朝倉書店
  13. 角屋 陸;永井明博 (1980). '流出解析手法-タンクモデルとSP法による最適同定'. 日本農業土木學會誌, Vol. 48, pp. 51-59
  14. 永井明博;角屋 陸 (1979). '流出モデルの最適化手法'. 京都大學防災硏究所年報, 22, B-2, pp. 249-261
  15. Hamon, W.R (1961). 'Estima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roc. Am Soc. Civil Eng., Journal of the Hydraulic Division, 87, pp.107-120
  16. IPCC, WMO/UNEP (1990). Climate Change-The IPCC Scientific Assessment
  17. Nigel Arnell (1996). Global Warming, River Flows and Water Resources. Wiley
  18. Powell, M.J.D. (1964). 'An efficient method for finding the minimum of several variables without calculating derivatives'. Computer Journal, Vol. 7, pp. 155-162 https://doi.org/10.1093/comjnl/7.2.155
  19. Takara, K., Kojiri, T., Ikebuchi, S. and Takasao, T. (1991), 'A simulation study on catchment respons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Environmental Hydraulics, Lee & Cheung(eds.), Balkema, pp. 1451-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