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유황

Search Result 20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Analysis on the Alteration of Flow Regime Characteristics : A Case of the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의 유황특성 변동 분석)

  • Kang, Seong-Kyu;Lee, Dong-Ryul;Moon, Jang-Won;Choi, S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29-434
    • /
    • 2008
  • 최근 하천의 복원과 자연형 하천 조성 사업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하천의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기위한 최소유량의 개념인 하천유지유량의 산정도 정부차원의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하천복원사업의 주목적은 변형된 수로의 복원, 오염하천의 정화, 생태서식처 조성, 자연 구조물 재료를 이용한 친수공간 확보 등이나, 해외 관련연구사례는 자연상태 혹은 자연상태와 가까운 상태로 하천을 복원,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유량 흐름 특성을 복원하는 것이 이에 못지않게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유황특성을 세분하여 이들 특성이 하천생태계에 줄 수 있는 영향을 외국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금강유역의 유황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대청댐 및 용담댐의 건설 전 후의 유황특성 변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관측자료가 부족한 경우, 모형을 통해 산정된 자연유량자료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여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유황특성 변동 분석은 향후, 하천유지유량의 산정, 자연형 하천 복원 및 하천관리 시 유황의 특성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 PDF

Flow Regime Boundary for Restoring River Ecosystems: A Case of the Han River Basin (하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적정 유황 범위 고찰: 한강유역사례)

  • Kang, Seongkyu;Lee, Dong-Ryul;Choi, Sij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spc
    • /
    • pp.1-8
    • /
    • 2019
  • River works for water utilization have substantially altered the natural flow regime, and it has resulted in deformation of healthy river ecosystems. In Korea, river restoration projects have conducted actively since 1990's. Major purposes of the river restoration are the rehabilitation of modified river channel,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creation of aquatic habitats as well as recreational spaces using natural material for river work. However, there have been little interests about the restoration of flow regime which influences to most aspects of river ecosystems. The restoration of natural flow regim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preservation of aquatic ecosystems. It should be nee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regime and river ecosystems, and the restoring flow regime is essential. This paper introduc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flow through the interrelation between flow regime and river ecosystem. It provides rolls of flow regime and addresses the method of establishing target flow regime using the RVA(Range of Variability Approach) that suggested by Richter et al.(1997) through analysis of altered flow pattern case of Han river basin.

Development of Water Supply Planning Simulation System for Instream Flow Increase (하천유지유량 증대를 위한 용수공급계획 모의 시스템 개발)

  • Noh, Jae-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84-388
    • /
    • 2008
  •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물의 양과 질에 대한 국민의 요구수준은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의 하천유지유량은 일본의 1/3에 불과하며, 평갈수기의 하천유량 증대가 물관리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댐 저수지의 저류와 생공용수의 회귀수에 의해 평갈수기의 하천유량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수계별로 그 현황과 향후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무수한 하천지점에서 용수수급 현황을 쉽게 분석,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용수수요 추정 모듈, 일 유출 모의 및 하천 유황분석 모듈, 기존댐 저수량 변화 모의 모듈, 신규 댐 규모 모의 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1). 분석 대상 하천 지점 유역의 논 용수, 생활 용수, 공업 용수의 수요량을 일별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들의 회귀수를 고려한 하천유량을 일별로 모의하여 유황을 분석할 수 있고, 상류에 기존 댐 및 저수지가 있는 경우 이의 저수량을 모의하여 하류 방류량을 고려한 하천유량을 분석할 수 있고, 하천유황이 목표 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신규 댐 및 저수지를 계획하여 이로부터 유량을 공급받아 하천유황을 유기적으로 아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저수량 변화 모의의 필수 자료인 저수지 표고별 저수면적, 저수량 자료를 신속하게 수집, 정리할 수 있도록 DEM을 활용하는 모듈을 장착하였다(그림 2). 수계별로 수많은 하천 지점의 유지유량 확보를 위한 다양한 용수공급 시나리오를 신속하게 분석, 평가하는데 편리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발된 시스템은 금강 유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방안 수립에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전 수계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보완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Climate Change Impact on Flow Regime Using the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IHA) in the Mangyoung River Basin (수문변화지표법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만경강 유역의 유황에 미치는 영향분석)

  • Hong, IL;Jeung, Se Jin;Kim, Byung Sik;Kim, Ji sung;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62-562
    • /
    • 2015
  • 하천의 유황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하천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문학적인 변화과정을 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정량적인 지표로 산정하고 분석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국 Nature Conservancy에서 개발한 수문변화지표법(IHA)은 일(daily)유출량 자료로부터 수문학적 관점에서의 특성지표와 환경유량 관점에의 변화지표를 분석함으로써 하천 유황변동을 정량화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향후 하천유황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규모 하천유역인 만경강을 대상으로 하고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준분포형 모형인 SLURP 모형으로부터 일(daily)단위의 유출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수문변화지표법(IHA)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 유황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다.

  • PDF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

  • Park, Sang-Deo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1
    • /
    • pp.33-44
    • /
    • 2003
  • Flow duration curves provide a compact summary of streamflow variability.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dimensionless flow duration curve in natural rivers with the unregulated discharge were investigated. An analysi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with discharge data at stage-gauging stations of IHP representative basins and of the major rivers in Korea. Discharge characteristics are dependent on area of watershed. However, flow duration coefficients except drought duration coefficient are independent on that. Abundant flow duration coefficient was constant value. The coefficient of flow duration variability defined in this study as the ratio of the normal stream flow over the drought one i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watershed area, which implies that the watershed area affects the drought flow duration variability more than the low flow one. And the coefficient of flow duration variability is increased with the river gradient.

Analysis of river flow change by supplying instream flow from a dam heightening reservoir (둑높이기 저수지 하천유지유량 공급에 따른 하천 유황 변동 분석)

  • Lee, Hyun Ji;Kang, Moon Seong;Hwang, Soon Ho;Kim, Kye 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29-429
    • /
    • 2017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둑 높이기 사업이 수행되었으며, 추가 저수량 확보를 통해 하천에 하천유지유량을 공급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은 저수지별로 평균갈수량과 기준갈수량의 범위 내에서 방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천 유황의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나, 이로 인한 연구는 미흡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둑 높이기 저수지에서 하천유지유량 방류에 따른 하류하천의 유황변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역의 유출량은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를 이용하여 모의하였으며, 저수지에서 발생하는 유량은 인위적 유량으로 고려하여 모의하였다. 저수지에서 여수로로 자연월류되는 수량과 하천유지유량의 방류조건을 고려한 저수지 방류량을 산정하기 위해 저수지 물수지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산정된 방류량을 HSPF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둑 높이기 저수지의 하천유지유량이 하천 유황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추후 수계별, 저수지 규모별 등에 따른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low Regime Change Analysis using River Analysis Package (RAP를 이용한 금강유역 유황변화 분석)

  • Park, Sang-Young;Cheong, Tae-Sung;Kim, Jeong-Kon;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48-651
    • /
    • 2007
  •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켜 하천 생태계 보전과 환경적으로 안정된 하천 조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천을 보다 자연스럽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환경유량의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리구조물에 의한 하천유황 및 하천환경의 변화를 분석하는 기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KModSim모델을 이용하여 금강수계에 위치한 대청댐과 용담댐의 운영 전후 가정조건하에서 1984년부터 2006년까지 22년간의 유량자료를 수통지점과 공주지점에 대하여 생산한 후, 환경유량 설정 도구로서 호주 eWater CRC에서 개발한 RAP(River Analysis Package)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유황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질, 서식처 등 하천환경 변화를 포함하여 하천의 건강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 PD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riparian vegetation and flow in river (하천내 식생 발생과 흐름 관계 분석)

  • Kim, Won;Kim, Sin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7-57
    • /
    • 2020
  • 최근들어 우리나라 하천에는 많은 식생이 발생하고 있다. 과거 댐에 의한 유황 조절효과로 댐 하류에 식생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사례는 많았지만 최근 발생하는 식생은 댐의 유무에 직접 관련되지 않고 있다. 또한 하천의 규모나 위치 등과도 관계없이 거의 모든 하천에서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같은 식생은 하천의 통수능을 줄여서 홍수위를 상승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하천의 육역화를 일으켜서 하천의 모습을 상실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일본 등의 경우에도 하천에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는 식생으로 인해 하천관리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해외의 경우 하천내 식생 발생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황의 변화, 하천 지형의 변화, 영양물질의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식생의 현황과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더불어 식생의 지속적인 제거를 위해서 기계적인 방법, 화학적인 방법, 수문학적 방법 등의 개발과 적용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는 식생의 현황을 파악하고 하천내 지형조건과 식생 발생의 연결 고리를 분석하였다. 최근 10년 이내 많은 중소하천에서 하천내 많은 면적을 식생이 차지하게 되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는 유황의 변화이다. 최근들어 대규모의 홍수발생 빈도가 급격하게 줄어들어 식생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홍수 발생 감소로 봄이나 여름철에 하천내 흐름이 발생하여 씨앗이나 어린 식생이 쓸려 내려갈 기회가 감소되었다. 두 번째는 과거 조성된 복단면 형상으로 인해 고수부지의 경우 흐름이 발생할 기회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고수부지가 육역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 두가지 요인이 중첩되면서 하천내 식생의 증가는 급속하게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단면 지형의 연도별 변화, 수위의 변화, 식생의 변화를 연계하여 식생의 발생 원인을 물리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는 과도한 식생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하천 단면의 관리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기후변화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황의 변화가 과거와는 다르게 발생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하천내 식생의 발생 현황 및 제거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due to Environmental Change in Korea River Basin (우리나라 하천유역 환경변화가 유황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ae-Joon;Kim, You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1
    • /
    • pp.67-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of Nakdong, Seomjin and Geum river due to environmental change. The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of Nakdong, Seomjin and Geum river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nge of flow duration. The construction period of multipurpose dam was considered to analyze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show that ninety-five day flow, normal flow, low flow and drought flow were increased by multipurpose dam construction at all stations except a Jukpo gauging station. Especially, improved effect of flow duration in downstream part was bigger than that in upstream and midstream part. The coefficients of river regime of Nakdong, Seomjin and Geum river were decreased and also coefficients of flow duration were decreased after the multipurpose dam construction. However decline of coefficient of flow duration was smaller than coefficient of river regime because coefficient of flow duration is less affected by maximum discharge and minimum discharge than coefficient of river regime, It was confirmed that multipurpose dam on upstream and midstream has a useful effect for improving the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Determination of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Small Mountainous Watershed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산지 소유역의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 Lee, Kil-Seong;Chung, Eun-Sung;Shin, Mun-Joo;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14-8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2000년)의 토지이용 및 지하수 취수량(2000년)을 토대로 유황곡선을 도출하고 개발이전의 토지이용(1975년)과 지하수 취수가 전혀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유황곡선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갈수량과 항목별 필요유량을 비교하여 큰 값으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한 것과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황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전, 삼성, 삼막, 수암천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이상적인 상태의 갈수량이 전혀 변화하지 않음을 보였으며 삼성, 삼막천은 두 경우 모두 갈수량이 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상유역의 유역면적이 작은 지방2급 하천일 뿐만 아니라 경사가 급한 산간지역이 대부분을 이루어서 개발 전에도 기저유출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하천유지유량을 항목별 필요유량으로 산정한 경우는 모든 유역에서 이상적인 상황의 저수량보다 큰 값을 보였다. 따라서 지방2급 하천과 같이 유역면적이 작거나 산지하천의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갈수량이나 항목별 필요유량을 비교하여 큰 값으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하기보다는 수문모의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 대해 자연적인 상황에서의 갈수량 또는 저수량 등 다른 적절한 방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