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장기 건주기의 재현 가능성에 관한 고찰

An Investigation of the Recurrence Possibility of Long Dry Periods shown in the Annual Rainfall Data at Seoul

  • 발행 : 2000.10.01

초록

본 연구는 서울지점의 연강수량 기록 중 1900년을 전후한 장기 건조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과우해에 대해 주목하고, 이와같이ㅣ 연속된 과유해의 재현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우해의 기준으로는 과우해의 발생에 독립성이 보장되도록 포아송 분포를 따르는 수준으로 결정하였으며, 평균-0.5표준편차의 절단수준에서는 대략 99%의 유의수준에서, 평균-0.75표준편차 및 그 이하의 절단수준에 대해서는 95%의 유의수준에서 포아송 분포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절단수준에 대해 1900년 전후로 나타나는 장기 건조기는 단지 4년 연속의 과우해 등으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절단수준에 대해 연속된 과우해의 발생확률은 포아송 과정을 적용하여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평균-0.75표준편차 및 그 이하의 절단수준에 대해서는 관측치와 계산치가 유사하게 나타남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아주 낮은 절단수준인 평균-1.0표준편차의 경우 연속된 과우해의 발생확률은 1900년을 전후로 한 장기건조기의 전반부 (조선시대 측우기 기록)보다 후반부 (근대관측기록)에 작게 나타나고 있어 장기 건조기의 발생 가능성은 근대에 들어 줄어들고 있음도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urrence possibility of consecutive dry years such as the long dry period around 1900 in the annual rainfall data at Seoul station. The truncation levels, as the criterion for the dry years, are decided such as to make the occurrence of dry years follow the Poissonian distribution, which assures independent occurrence of dry years. For the truncation level of mean-0.5stdv, the occurrence of dry years is found to satisfy the Poissonian distribution weakly with 99% significance level, but for those of mean-0.75stdv and mean-stdv with 95% significance level. For these truncation levels, the long dry period around 1900 is divided into several short consecutive dry years. The Poisson process has then been applied to derive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consecutive dry years. For the truncation level of mean-0.75stdv or below, the Poisson process was found to reproduce similar occurrence probabilities to the observed. Especially for the lowest truncation level used in the study (mean-stdv), we could see that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consecutive dry years estimated for the data collected before the long dry period around 1900 was higher that those for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long dry period,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ossibility of long dry periods is decreasing recently.cen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 승, 신현민 (1993). 서울지점 강수의 장기간 변동 성향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 제34회 수공학연구발표회 논문집, 한국수문학회, pp. 264-272
  2. 유철상, 김보윤, 노재경 (2000), '서울지역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3호, pp. 307-314
  3. 정현숙, 임규호 (1994). '서울지역 월강수량과 강수일의 관계'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28 권 2호, pp. 125-132
  4. 정현숙, 임규호,오재호 (1999). '측우기 관측강우량 자료에 근거한 한반도 건조기에 관한 연구' '99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7-152
  5. 정현숙 (1999). 서울지역 강수량의 시계열에 나타난 시간 변동성의 해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Ashkar, F. and Rousselle, J. (1987). Partial Duration Series Modeling under the assumption of a Poissonian flood counts, J. Hydrology, Vol. 90, pp, 135-144 https://doi.org/10.1016/0022-1694(87)90176-4
  7. Lim, G.-H. and Jung, H.-S. (1992).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annual precipitations at Seoul, 1771-1990, J. Korean Meteoro. Soc., Vol. 28, pp. 487-505
  8. Parzen, E. (1962). Stochastic Processes, Holden-Day,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