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tinuance of illogical thought in the process of creative thinking

창조적 발상과정에 있어서 비논리적사고의 지속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0.02.01

Abstract

The designer get through a doorstep of ideation to obtain a design concept, which consequently achieves the successful design. However, the ideation with creativeness may not always be given as much as an effort is made. It is readily recognized as the ideation released is naturally limited to a resonable and logical frame structure. Conversely, the successful ide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illogical thought given in a while. The thinking method suggested in effect preview can thus satisfy the demand of lateral thinking, which can lead to the creativeness as a thinking model as well as amenably advertising concept in a final step of advertising plan.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from the brain function theory, the unique role of each side of brain can not practically influence on an art work performance successfully achieved.

디자이너라면 누구나 디자인의 결과물을 얻어내는 과정의 첫 단계로서 디자인의 컨셉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발상의 단계를 거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새로움을 요구하는 발상은 누구에게나 노력하는 정도만큼 비례하여 얻어지는 속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인간이 노력하여 얻어낼 수 있는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의 틀 속에는 새로운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좋은 발상의 핵심은 어떻게 하면 비논리적 사고영역에 자기 자신을 원하는 시간 동안 머물 수 있게 하는가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결과미리보기"의 사고법은 광고기획서에서 최종 단계에서 제시되고 있는 광고컨셉을 만족시키면서도 최종 단계에서 제시되고 있는 광고컨셉을 만족시키면서도 수평적사고의 영지에 인간의 사고활동을 일정 시간 묶어 둘 수 있는 발상모델이 될수 있다고 생각한다. 뇌기능이론에서, 우뇌나 좌뇌의 활동지수의 높고 낮음이 실제 작품제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할 정도가 아니라는 사실이 연구결과 드러났다.연구결과 드러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