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 on the Self Healing Characteristics of MPPF by Voids

보이드에 의한 MPPF의 셀프힐링 특성 연구

  • 박하용 (정회원, 삼척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 곽희로 (정회원,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Published : 2000.07.01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self healing characteristics of a metalized polypropylene film(MPPF) by voids under a.c condition. PDIVs were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pre-self healing due to void defects, and several pre-self healing events took place at lower voltage than the critical breakdown voltage of a PPF. Self healing mainly occurred at pin tips, wrinkle sides, and cross points of wrinkles, and the main self healing voltage was increased with PPF thickness. The burn out area at self healing was increased with the applied voltage, and the peak currents in a grounding conductor at self healing was also increased with the applied voltage.

본 논문은 교류전압 인가시 보이드 형상에 따른 금속증착 폴리프로필렌 필름(Metalized Polypropylene Film : MPPF)의 셀프힐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보이드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프리 셀프힐링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PDIV는 증가하였으며, 프리 셀프힐링은 FPF의 절연파괴전압보다 낮은 전압에서 발생하였다. 셀프힐링은 주로 핀형, 주름형, X/Y형 보이드의 에지, 주름선상 및 교차점에서 발생하였으며, 주셀프힐링 전압은 PFP의 두께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셀프힐링시 증착금속의 비산면적은 인가전압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셀프힐링시의 피크전류는 MPPF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