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공원에 반영된 한국성의 기호학적 해석 -예름슬레우 모델을 중심으로-

A Sem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Koreaness in Paris Park, Seoul

  • 김동찬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 연구원) ;
  • 유재설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성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발행 : 2000.08.01

초록

Although built-environment has not only function but also socio-cultural meanings, the latter is neglected in the modernism. People don't have the identity of their place because they can't communicate with environment. Therefore, expressing the socio-curtural meanings in landscape is one of main issues after the modern era. The meanings of phenomena can be analyzed by the Semiology based on Structurism, the methodology which has been developed in Linguistics and Anthropology since 19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apt Helmslev's model that can effectively explain the meanings of built-environment and interpret the Koreaness, one of important meanings in contemporary urban park, Paris park. The following methods are used for achieving the purpose. 1. Adaptation of the Helmslev's model for interpreting the urban park. 2. Interpretation of the Paris park. 3. Making the types of interpretion of Paris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Helmslev's model can explain the content and expression of the urban park in denotation and connotation. 2. Th socio-cultural meanings of Paris park are the relationship of France, Yan and Yin theory, philosophy of Samjae, king's authority. And they are expressed in the pattern of paving, the shape of mounds, fountain, and pond, a picture of the wall, colours of lightings and columns, and a mark of bollard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소적 의미의 표현에 관한 연구 강철기
  2. 기호와 현대예술; La structure assent Umberto Eco;김광현(번역)
  3. 경희대학교 조경논총 v.1 no.11 도시공원에 나타난 문화적 아이덴티티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김동찬
  4. 전통정원의 원형과 재해석에 관한 한·중·일 국제 심포지움 한국 정원 양식 재현 사례분석 김동찬
  5.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국립공원의 시각자원의 관리를 위한 경관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김세천
  6. 커뮤니케이션 이론;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Littlejohn, Stephen W.;김홍규(번역)
  7. 기호학 이론; Semiology Umberto, Eco.;서우석(번역)
  8. 공간 no.262 한국성 모색을 위한 철학적 고려 소홍렬
  9.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기호학을 적용한 조경공간의 의미해석 우석용
  10. 파리공원 조성 기본계획 유병리
  11.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한국문화의 기호학적 해석과 도시문화공간 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의 강화를 위하여 은이선
  12.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도시가로의 장소성 연구 이석환
  13.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건축의 기호론적 해석 - 조선시대 상류주택에의 적용 임석재
  14. 환경심리행태론 임승빈
  15. 홍익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전통건축 외부공간의 계층적 질서에 관한 연구 정무웅
  16.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모더니즘 이후에 나타나는 조경의 흐름에 관한 연구 차태욱
  1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시각언어개발에 있어서 기호학적 접근 방법 연구 최길열
  18.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과 상징성 제고를 위한 보행자 전용가로에 관한 디자인 연구 하영미
  19. Sign, Symbol, and Architecture Building Design as an lconic Sign System Broadbent, Geoffery;Bunt, Richard;Jencks, Charles
  20. Sign, Symbol, and Architecture Funtion and Sign: The Semiotics of the Architecture Eco, U;Broadbent, Geoffery;Bunt, Richard;Jencks, Charles
  21. Course in General Linguistic F. de Saussure;Baskin, Wade(tr.)
  22. Sign, Symbol, and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Sign Jenks, Charles;Broadbent, Geoffery;Bunt, Richard;Jencks, Charles
  23. Language and Meaning Architecture Preziosi, Donald
  24. The Semiotics of the Built Enviroment Preziosi, Donald
  25. Sign, Symbol, and Architecture Structural Linguistics versus the Semiotics of Literature: Alternative Models for Architecture Criticism Scalvini, Maria Luisa;Broadbent, Geoffery;Bunt, Richard;Jencks, Char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