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on of Acetate from Waste Gas using Peptostreptococcus productus

Peptostreptococcus productus를 이용한 산업체 부생가스로부터 아세테이트 생산

  • 강환구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 전희진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Published : 2000.04.01

Abstract

The anaerobic bacterium P. productus was known to produce acetate from CO, C02 and H2. In this research the acetate f formation from waste gas was studied. For this research, kinetic parameter study on CO conversion were carried out. From t this study maximum CO conversion rate of 39.3 mmol/L . hr . 0.0 and Km of 0.578 atm were obtained. Also the effect of c CO refreshment, N source, initial pH and c비ture temperature on acetate formation were studied. Acetate formation in 5L lab s scale fermenter was tested and specific acetate production rate of 0.48 g/L-hr-O.O. was obtained and the acetate c concentration was 21 g/L.

본 연구에서는 P. productus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CO로부터 아세테이트 전환방법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CO 소비속도에 대한 kinetic model과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상수 값을 계산하여 Vmax와 Km은 각각 39.3 mmol/L-hr-O.D., 0.578 atm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고농도 구간에서 CO의 저해상수 KSI는 0.792 atm이었고 Smax는 0.677 atm 이었다. 질소원인 YP의 농도에 따른 아세테이트 생산 정도는 YP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의 성장과 생성된 아세테이트의 양이 증가하여 YP 3%의 경우 O.D. 1.14에서 약 6g/L의 아세테이트를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세테이트 생성속도는 YP 농도 2%와 3%에서 최대값이 0.11 g/L.hr.O.D로 비슷하였다. P. productus를 이용해 아세테이트 생성을 최적화 하기 위한 초기 pH 실험의 결과 pH 6, 7 그리고 8의 경우는 O.D. 약 0.7에서 3 g/L 아세테이트를 생성하여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P. productus의 아세테이트 생성 최적 온도는 $37^{\circ}C$임을 확인하였다. 기상과 액상의 접촉 표면적의 한계에 의한 물질전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5L 발효기에서 고농도 아세테이트 생성실험을 수행하였다. 균주성장의 경우 O.D. 약 1.4 까지 성장하였다. 아세테이트의 경우 접종초기 낮은 생성속도로 생성되다가 60시간 이후 활발한 생성을 보여 약 21g/L를 생산하였다. 이때의 최대 아세테이트 생성속도는 0.48 g acetate/L.hr.O.D 이었고 최대 CO 소비속도는 26.4 mmole CO/L.hr.O.D. 이었다. 이 수치는 bottle 의 경우 0.11 g acetate/L.hr.O.D에 비하여 4배이상 증가한 값이고 생성량에 있어서도 약 4배가 증가하였다. P. productus가 이산화탄소와 수소로부터 아세테이트를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는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이용한 균주성장 정도와 아세테이트 생성량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30%와 20% CO2 거기에 H2를 각각 10%, 20% 주입한 경우를 비교하였는데 각 경우 모두 비슷하게 O.D. 0.5 정도에서 약 2g/L의 아세테이트를 생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CO를 이용한 CSTR 실험시 pH 조절과 배양중 질소원등 배지의 추가 공급, 그리고 CO 머무름 시간, 교반속도의 물질전달에 영햐을 주는 요인들을 적절히 조절할 경우 생물학적 아세테이트 생성공정은 경제적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The Korean Journal of energy and Resource technique v.14 J. K. Sung
  2. Appl. Environ. Microbiol. v.47 Lorowitz, W. H;Bryant, H. P.
  3. J. Bacteriol. v.155 Kerby, R. W.;Zeikus, J. G.
  4. Amer. Soc. Microbiol no.24 Barik, S.;R. E. Corder;Abstr
  5. Int'l. J. Syst. Bacteriology v.27 Balch, W. E.;S. Schobe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