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을 위한 경관 독해 -문화지리학 연구주제로서 유교의 ‘자연합일’전통 -

Reading Landscape for Quality of Life

  • 김덕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부 지리전공)
  • 발행 : 2000.06.01

초록

지난 몇 십 년간 한국사회는 급격한 도시화와 시-공간 압축을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편으로는 정체성 혼란을 심화시켰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여가시간의 증대를 초래하고 있다. 이 정체성 혼돈과 여가의 증대 경향이 대중들로 하여금 ‘삶의 질’요구를 제기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삶의 질’향상이 자연과 장소에 대한 문화적 감수성 회복을 통하여 이루어질수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문화적 감수성이란 자연과 장소에 대한 심미를 의미한다. 16세기의 위대한 유학자 퇴계 이황의 경관독해처럼, 유교적 자연미는 숭고미가 아니라 자연합일 감성이다. 유학자들은 이러한 자연에 자신을 합일(정체화)하는 감성을 가지는 것을 최선의 일상적 실천으로 삼았다. 생생불식하는 자연의 모습을 ‘천지의 마음’으로 보고, 그것을 체득하는 것에 자기수양의 궁극적 목적을 두었기 때문이다. 퇴계는 자연합일이 아니라 거주 과정에서 형성된 인간-자연 간이 감성적 연계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추구는 인간과 자연생태계 간의 심각한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참된 거주경험에 대한 욕구이다. 우리는 유학자의 ‘자연합일’감성으로부터 진정한 거주경험을 배울 수 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The condition of Post Modernity: an I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구동희;박영민(옮김);Harvey, D.(지음)
  2. 사회과학연구 v.14 no.1 삶의 질의 대두와 공간환경 김덕현
  3. 사회과학연구 v.14 no.1 장소성과 장소구축 김덕현
  4. 사회과학연구 v.15 no.2 장소감의 유형과 장소 재현 김덕현
  5. 사회과학연구 v.16 no.3 한국인의 공간 환경적 삶의 질 김덕현
  6. 사회과학연구 v.16 no.3 남해 주민의 삶의 질-공간·환경 현황과 정책 방향- 김덕현;장봉규
  7. 사회과학연구 v.15 no.2 삶의 질-공간환경의 특성과 그 추구방안 김덕현;최병두;손일
  8. 녹색평론 v.27 문학의 옹호 김우창
  9.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시적 인간과 생명의 논리 김종철
  10. 經書 大東文化硏究院
  11. 增補退溪全書 大東文化硏究院
  12. 朱子의 哲學;범주로 보는 주자학 大濱皓(오하마 아키라)(지음);이형설(옮김)
  13. 현대환경론 데이비드 페퍼(지음);이명우(외 옮김)
  14. 녹색평론 v.36 생태학적 합리성과 아시아 철학 박이문
  15. 문명의 미래와 생태학적 세계관 박이문
  16. 녹색평론 v.42 시조의 생태미학 박혜숙
  17. 공자와 노자 그들은 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사라 알란(지음);오만종(옮김)
  18. 사회과학 v.34 no.2 별책특집 삶의 질 향상과 여가 (Ⅰ)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 상상력의 자리찾기 산수문학에서의 산수와 산수미 손오규(지음);경상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엮음)
  20. 退溪詩學(改譯版) 王甦(著);李章佑(譯)
  21. 공간과 장소 이-푸 투안(지음);구동회;심승희(옮김)
  22. 포스트모더니티 이윤희;이현희(옮김)
  23. 퇴계시 풀이 이장우;장세후(역)
  24. 華夏美學 李澤厚(著);權瑚(譯)
  25. 사회과학연구 v.16 no.3 진주 시민의 삶의 질 -장소성과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장봉규;김덕현
  26.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장파(지음);유중하(외 옮김)
  27. 退溪學硏究 v.11 退溪 山水詩의 形象化에 대하여 鄭東和
  28. 메가챌린지 존 나이스비트(지음);박동진(옮김)
  29. 近思綠 崔大林
  30. 녹색평론 v.28 욕구의 문제 폴 에킨스
  31. 地域文化政策의 新觀點-文化遺産保護에서 傳統文化繼承으로- 馬場憲一
  32. 문화관광부
  33. Cultural Geography Crang, M.
  34. Mapping the Futures Local Cultures, Global Change From space to place and back again: Reflections on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Harvey, D.;Bird, J.(ed.)
  35.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v.6 (Re)reading the landscape Duncan, J.
  36. Geographical Imaginations Gregory, D.
  37. Material Concerns -Pollution, Profit and Quality of Life Jackson, T.
  38. Dwelling, Place and Environment: towards Phenomenology of Person and World The quest for authenticity and the replication of environmental meaning Dovey, K.;David, S.;Robert, M.(eds.)
  39.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3rd ed.) Johnston, R. J.;Gregory, D.;Smith, D. M.(eds.)
  40. Place and Placelessness Relph, E. C.
  41. Progress in Geography v.6 Space and Place: Humanistic Perspective Tuan, Yi F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