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pe Analysis and Representation of Handwritten Hangul Characters

필기 한글 문자의 모양 분석과 표현

  • 홍기천 (전북대학교 대학원 전산통계학과) ;
  • 오일석 (전북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Published : 2000.05.01

Abstract

This paper propose a method of shape analysis and representation for the handwritten Hangul character patterns. Each of the connected components composing a Hangul character is decomposed into many parts, and skeletons are extracted from the decomposed parts. Using the results, we represent the shape of Hangul characters using the attributed graph representation. A node of the attributed graph represents a part and an edge represents their relationships and they store valuable informations of the pattern shapes.

본 논문에서는 필기 한글의 모양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하나의 한글 문자를 구성하는 연결 요소 각각은 다수 개의 부품들로 분해되고 분해된 요소들을 표현하기 위해 골격선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골격선으로부터 속성 그래프를 이용하여 필기 한글 문자를 표현하였다.속성 그래프의 노느는 하나의 부품에 해당하고 제지는 그들간의 연결로 관계를 나타낸다. 노드와 에지에는 패턴의 모양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 S. Park, and S. W. Lee, 'Off-line recognition of large-set handwritten characters with multiple hidden Markov models,' Pattern Recognition, Vol.29, No.2, pp.231-244, 1996 https://doi.org/10.1016/0031-3203(95)00081-X
  2. 김호연, 서장원, 권재욱, 김진형, '필기 한글 인식에 관한 연구 : KAIST의 연구를 중심으로', 인지과학회 논문지, Vol.6, No.4, pp.5-20, 1995
  3. H. J. Kim, and P. K. Kim, 'Recognition of off-line handwritten Korean characters,' Pattern Recognition, Vol.29, No.2, pp.245-254, 1996 https://doi.org/10.1016/0031-3203(95)00077-1
  4. 황순자, 김문현, '접촉유형에 기반한 오프라인 필기체 한글문자분할', 인지과학회 논문지, Vol.6, No.4, pp.51-71, 1995
  5. 이은주, 권오석, 김태균, '필기체 한글에서 자모 분리와 인식',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Vol.15, No.6, pp.526-534, 1988
  6. 박정선, 오일석, '필기 한글 패턴의 모양 분해',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1999년 12월(submitted)
  7. 홍기천, 오일석, '모양 분해를 이용한 필기 한글 문자의 골격선 추출',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2000년 1월(submitted)
  8. S. W. Lu, Y. Ren. and C. Y. Suen, 'Hierarchical attributed graph representation and recognition of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Pattern Recognition, Vol.24, No.7, pp.617-632, 1991 https://doi.org/10.1016/0031-3203(91)900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