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 Practice Importance Analysis by Software Process Assessors' Characteristics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원 특성에 따른 기본 프랙티스의 중요도 분석

  • Lee, Jong-Moo (School of Business and Economics, Halla University) ;
  • Yoo, Young-Kwan (School of Business and Economics, Halla University) ;
  • Kim, Gil-Jo (Software Engineering Dept., ETRI-Computer & Software Tech. Lab.) ;
  • Chun, In-Geol (Software Engineering Dept., ETRI-Computer & Software Tech. Lab.)
  • 이종무 (한라대학교 경상학부) ;
  • 유영관 (한라대학교 경상학부) ;
  • 김길조 (ETRI 컴퓨터.소프트웨어기술연구소) ;
  • 전인걸 (ETRI 컴퓨터.소프트웨어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0.07.31

Abstract

It is not simple to manage software quality, becaus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and product itself are very complex. Recently ISO/IEC 15504- international standard for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capability determination and development - was completed and applied to many local trials, and their results are being reported as registered local trials. The first step of software process assessment is established by examining whether its base practices are performed and which level they are achieved. And as far as assessment responsibility and credibility are concerned, assessment is generally performed by team-based assessors. Therefore assessment team construction and its preference of practice importances have a great effect on the credibility and the objectivity of assessment. In this paper, we analyse a SPICE-based software process assessment trial by comparing base practice importances of assessed processes, which are expressed through a real assessment, with its final rating results. Survey data are collected from assessors and interviewees who were engaged in the SPICE trial that was performed by ISO/IEC 15504, and final data analysis are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is method. It is convinced that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ble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software process assessment by provisions of objective and rational criteria and preference information for assessment team construction and base practice importances in future.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품질관리 문제는 일반 제조상품과 달리 개발 공정과정과 제품자체의 복잡성 등으로 단순하지만은 않다. 최근 이러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개선, 능력결정과 개발을 위한 국제 표준 ISO/IEC 15504가 완성되어 국내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이 결과는 국제적인 사례적용 보고서로 제출되어 등록되고 있다. 표준에 의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의 기본은 해당 기본 프랙티스들의 수행여부와 수준을 확인함으로서 시작된다. 그리고 심사책임 및 신뢰성과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팀 단위로 구성된 심사원들이 프로세스 심사를 수행한다. 따라서 심사 팀의 구성과 프랙티스들의 중요도 선호가 프로세스 심사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심사사례를 통해 나타난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기분 프팩티스들의 중요도와 심사결과를 비교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사례를 분석한다. 연구 자료로는 ISO/IEC 15504 표준을 적용한 SPICE 실제 심사사례에 참여한 심사원 및 인터유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이용하고, 이를 통계적 인자분석 방법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심사 팀 구성을 위한 판단기준과 프랙티스 중요도 선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의 신뢰성과 효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