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dimension In korean hemifacial microsomia patients

한국인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유치와 영구치 크기에 관한 연구

  • Chang, Young-Il (Dep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ang, Won-Sik (Dep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Nahm, Dong-Seok (Dep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Woo (Dep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Baek, Seung-Hak (Dep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장영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양원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남동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김태우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백승학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Published : 2000.02.01

Abstract

Hemifacial microsomia ( HFM ) is the second most common craniofacial abnormalies. HFM represnted a spectrum of clinical findings such as hypoplasia of the mandibular ramus and condyle, confinement of maxilla growth, external and/or middle ear defects, involvement of some cranial suture, buccal soft tissue, facial nerve, and muscles in the affected side. HFM often showed progressive facial asymmetry and occlusal plane slanting to the affected side with growth. There were several reports about asymmetry of tooth maturation, hypodontia, delayed eruption, enamel hypoplasia in HFM. Since teeth develope in close association with size and morphology of the maxillary and the mandible, it is highly likely that dental changes will be present in HFM.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dimensions in the maxillary and the mandibular dentition between the affected and the non-affected side of HFM..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34 unilateral HFM Patients (18 males and 16 females, average age : 5 year 11 months old). The authors examined the mesiodistal and the faciolingual dimension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and performed statistical study by using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siodistal dimensions of the mandibular second primary molar and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in the affected side of HFM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non-affected sid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terior teeth and the mandibular first primary molar. It means that a gradient of severity from anterior teeth to posterior teeth was found in the mandibular dentition. 2.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iolingual dimensions of the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in the maxillary and the mandibular dentition between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 of HFM, there were general trend of compensatory increase in faciolingual dimension of the mandibular primary and the permanent teeth in the affected side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HFM might affect on the abnormality of tooth dimension, especially the most posterior teeth, in the affected side of the mandible.

반안면 왜소증 (Hemifacial microsomia) 은 선천성 악안면기형 중 발생빈도가 두 번째로 높은 질환으로서, 상, 하악골 뿐만이 아니라 외이나 중이, 두개의 일부, 협부 연조직, 안면신경, 근육 등의 복합적인 부위를 침범하는 광범위한 선천성 기형으로서, 환자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성장에 따라 교합면 경사와 함께 이환 측으로 안면 비대칭의 정도가 점점 심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반안면 왜소증에서 치아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치아 성숙도의 차이, 치아 수의 감소, 맹출지 연, 법랑질 저형성증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치아는 악골의 크기나 형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발육하기 때문에,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경우 치아 발육에서 변화가 발생되기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 편측성 반안면 왜소증 환자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에서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크기와 형태 차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였던 편측성 반안면 왜소증 환자 34명 (남자 18명, 여자 15명, 초진시 평균연령 5세 11개월)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각 치아별 근원심과 협설측 폭경 을 계측한 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paired t-test로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의 근원심 폭경 비교에서 이환 측의 하악 제 2 유구치와 하악 제1 영구 대구치가 비이환 측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것은 하악 전치부와 제 1유구치의 근원심 폭경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과 연관지어볼 때, 이환측 하악의 최후방 구치에서 근원심 폭경 감소의 경향 (gradient of severity)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상,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이환 측과 비이환 측의 협설측 폭경 비교에서 모든 치아에서 통계학적 유의차를 볼 수 없었지만, 이환 측의 하악 유치와 영구치의 협설측 폭경이 비이환 측에 비하여 보상적으로 다소 큰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안면 왜소증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하악골의 이한측 치아, 특히 최후방 구치, 의 크기와 형태 이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