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LSE OXIMETER AS A DIAGNOSTIC TEST OF PULP VITALITY

Pulse Oximeter를 이용한 치수생활력측정

  • Koo, Bon-Ky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Lee, Jae-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Lee, Jong-Ga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구본경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제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종갑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2.29

Abstract

Traditionally, EPT and thermal tests were used as diagnostic methods for pulp vitality test. The thermal and electrical stimulation tests are the methods to determine the vitality of a tooth based on its neuronal response. These have certain limitations, one of them is the difficulty of approaching the correct result in case of treatment of children. The reason is management problem caused by the unpleasant stimulation. Also, the response from patients are not objective, and false positive or false negative could be happened. Recently, laser doppler flowmetry and pulse oximeter which evaluate vascular integrity are introduced in an effort of overcoming to limitation of traditional methods. The principle of pulse oximeter is to and out level of oxygen saturation by ratio of the two pulses between emitted light and detected light penetrating them to the termination of body, such as ears or finger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applied to a tooth to determine its vit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lies mainly on varifying pulse oximeter as a method of determining tooth vitality and providing basic data of its clinical implement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level of oxygen saturation in vital teeth was average of 96.3% and 0.0% in pulpless teeth. As a comprehensive result, pulse oximeter could be an useful diagnostic equipment in determining of tooth vitality.

치수 생활력 검사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전기치수검사나 온도변화검사 등이 있다. EPT와 ice test 즉, 전기치수검사와 온도변화검사는 치아의 신경학적 반응에 의해 치아의 실활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환자가 아동일때는 정확한 반응을 얻기가 어렵고, 환자의 주관적 반응을 판단해야 하므로 객관적이지 못하고, 소아 환자에게 좋지 못한 자극을 주어 행동 조절의 문제를 일으키며, 거짓 양성반응과 거짓 음성반응이 나을 수 있다는 등의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혈관의 보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인 laser doppler flowmetry와 pulse oximet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Pulse oximeter의 원리는 두 가지 종류의 파장의 빛을 귀, 손가락등 생체의 말단에 투과시켜 발산된 빛과 감지된 빛간의 두 파장의 흡수비로 산소 포화 정도를 알아내는 것으로서 이에 착안하여 또 하나의 생체 말단인 치아에 이를 적용하여 치아의 실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 보고에서는 치수 생활력 검사시 pulse oximeter의 사용 가능성에대해 검증하고 이의 임상적용에 대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했는데 생활치 에서는 평균 96.3%의 산소 포화도를 실활치에서는 평균 0.0%의 산소 포화도를 얻어냄으로서 pulse oximeter가 치아의 실활여부 판단에 있어 유용한 진단도구로서의 가치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