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유리 전색재와 일반 레진계 전색재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THE SHEAR BOND STRENGTHS BETWEEN CONVENTIONAL COMPOSITE SEALANTS AND FLUORIDE-RELEASING SEALANTS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0.02.29

초록

치면열구 전색재가 교합면 열구우식의 억제에 예방효과를 보임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치면열구 전색재가 불소를 유리하도록 성분적인 첨가를 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여러 제품이 현재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불소를 유리하는 장점은 가졌으나, 물성의 저하가 초래되지는 않았을지 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레진계 전색재, 불소유리 전색재, GI계 전색재 등 4종의 치면열구 전색재의 유지력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레진계 전색재인 Helioseal과 Teethmate-A가 불소유리 레진계 전색재인 Teethmate-F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약간 크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유의한 차는 없었다(p>0.05). 2. GI계 전색재인 Fuji III의 전단결합강도는 레진계 전색재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p<0.05). 3. 위 실험결과에서처럼 레진계 전색재에서 우식예방효과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불소를 포함시켰을 때, 전색재의 유지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re has recently been some trials to add the fluoride-releasing property to existing fissure sealants and some of them are already commercially available. But, some questions mat naturally be arisen regarding the potential decrease of physical properties by adding the fluoride despite its new caries-inhibiting abilities.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shear bond strengths of conventional composite sealant, Fluoride-releasing sealant and glass ionomer sealant, and obtained the results as fellows. 1. Two kinds of composite sealants (Helioseal and Teethmate-A) showed sligh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Fluoride-releasing sealant(Teethmate-F) without any significance(p>0.05). 2. Class ionomer sealant (Fuji III) was much lower than composite sealant in shear bond strength(p<0.05). 3.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little effect on retentive properties of sealants by adding fluoride to amplify the caries-inhibiting propert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