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aminiferal Research in the Korean Yellow Sea

우리나라 황해의 유공충연구

  • Chang, S.K. (Polar Research Center,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H.Y. (Division of Petroleum and Marine Geology,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 장순근 (한국해양연구소 극지연구센터) ;
  • 이호영 (한국자원연구소 석유해저 자원부)
  • Received : 1999.07.06
  • Accepted : 1999.10.15
  • Published : 1999.11.30

Abstract

The foraminiferal researches carried out on the bottom sediments of the Korean Yellow Sea were reviewed. They began from the materials collected in the mid-1960. Most of the study materials were obtained from the gravity or piston corers as well as from the grab samplers. However, relatively long cores were obtained by a drilling ship in the mid-1990. The paleoenvironmental and sea-level histories associated with the foraminiferal changes were the main topics of the foraminiferal researches. Micropaleont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lso revealed. Sediments were supplied through the input of the rivers and streams from the adjacent mainland China and Korean Peninsula since the Holocene. Although the open sea has influenced off Mokpo now, it had influenced off Kunsan in mid-Holocene which was clearly seen from the occurrence of planktonic foraminifera. However, more advanced methods of study adopting geochemistry such as an absolute age estimate, an isotope analysis and an analysis of elements in combination with other fields of studies related with foraminiferal ecology should be applied to foraminiferal researches to reveal marine geological phenomena, such as climatic fluctuations and related marine environmental changes, in more detail. Additionally,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paleontolgical research including foraminifera is essenti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cent as well as ancient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earth.

우리나라 황해 퇴적물에서 수행된 유공충연구를 살펴보았다. 유공충은 1960년대 중반부터 해저표면 퇴적물에서 연구되기 시작했다. 연구재료의 대부분은 중력 또는 피스톤식 시추심이었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는 시굴선이 시굴한 상당히 긴 시굴심이 연구재료로 쓰였다. 유공충의 미고생물학적 특성이 연구되어 주로 서해의 고환경변화 및 해수면변화를 유추하는 데 쓰였다. 퇴적물은 홀로세이후 중국본토 및 한반도에서 흘러드는 하천수로 운반되었다. 홀로세가 시작하면서 서해에 물이 들어차기 시작해 외해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주위 육지에서 퇴적물들이 유입되기 시작했다. 부유유공충의 산출양식으로 보아 현재 외해는 목포 앞까지 영향을 미치나 홀로세 중기에는 상당히 강해 군산 앞바다까지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기후변화 및 그에 수반된 해양환경 변화 등 해양지질학적 현상을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하여 절대연대측정, 동위원소분석 및 원소성분분석 등 지구화학적 연구 및 유공충의 생태와 관련된 보다 현대적인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나아가서 지구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유공충을 비롯한 고생물연구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해양연구소, 한국자원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