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Nutrients Distribution in Summer and Winter in the South Sea

여름과 겨울철 남해의 영양염 분포 특성

  • Lee, Tong-Sup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동섭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Received : 1999.04.16
  • Accepted : 1999.09.28
  • Published : 1999.11.30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recent nutrients measurement and analysis in relation to other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AOU and pH in the South Sea, Korea. In summer, temperature showed stronger correlation with nutrients than salinity and also did the parameters related to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pH and AOU. Implications of above results exemplify that primary producers in the vicinity of salt front actively consumed nutrients so that nutrients-salinity correlation is strongly modified in the salt front. Nutrient in winte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temperature. Nutrient distribution seems governed by the location of thermal front between vertically mixed cold water in northern area and warm waters flowing north. Due to weak biological activity in winter pH-nutrients correlation, which was strongest in summer ($R^2$ >0.6) dropped sharply in winter ($R^2$ <0.5). Depth integrated nitrate+nitrite, phosphate and silicate values are 321 $mmol{\cdot}m^{-2}$, 23 $mmol{\cdot}m^{-2}$, 637 $mmol{\cdot}m^{-2}$ in summer and 261 $mmol{\cdot}m^{-2}$, 31 $mmol{\cdot}m^{-2}$, 742 $mmol{\cdot}m^{-2}$ in winter, respectively. NIP values in summer exhibit phosphorus deficiency, however, winter situation is reversed for nitrogen. Nitrogen input via precipitation and riverine discharge in wet season seems potentially critical for maintaining the South Sea ecosystem.

여름과 겨울철 남해의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염의 분포 특성을 수온, 염분, 겉보기 산소 소모량, pH 등의 환경 인자들과의 상관도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름철에 영양염의 분포는 염분보다는 수온과 양호한 상관도를 보였으며 생물 활동과 관련이 갚은 pH, 겉보기 산소 소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로 보아 여름철에 형성되는 염전선역에서 일차생산자에 의한 영양염 소비가 활발하여 염분과 영양염과의 상관성을 강력하게 변형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겨울철에는 수온이 영양염과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직 혼합된 냉수와 북상하는 난류의 세력이 만나는 열전선의 위치가 영양염 분포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여름철에 가장 우수한 상관도를 보였던 ($R^2$ >0.6) pH의 경우 겨울철에 생물 활동이 미약하여 상관도가 크게 낮아졌다($R^2$ <0.5). 수심에 대해 적분한 질산염+아질산염 인산염 규산염의 값은 각기 여름철에는 321 $mmol{\cdot}m^{-2}$, 23 $mmol{\cdot}m^{-2}$, 637 $mmol{\cdot}m^{-2}$이었고 겨울철에는 261 $mmol{\cdot}m^{-2}$, 31 $mmol{\cdot}m^{-2}$, 742 $mmol{\cdot}m^{-2}$로 계산되었다. 영양염의 질소 대 인의 비는 여름철에는 인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반면 겨울철에는 이와 반대로 질소가 결핍되어 우기에 강우와 하천을 통한 질소의 유입이 남해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