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nulometric Analysis of Sediment: Preliminary Results for Inter-lab Calibration

퇴적물 입도분석 방식 비교: 예비결과

  • Choi, J.Y.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H. (Agency for Defence Development) ;
  • Kim, S.Y.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99.04.29
  • Accepted : 1999.05.31
  • Published : 1999.08.30

Abstract

Grain size distributions of sediment samples were analyzed by the different method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Reported data of the bottom sediments from the Korean seas show significant deviations among the institutes, and the inter-lab comparison and calibration procedure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Grain size data by different methods show different results. Laser diffraction method provides good precision in replicate analysis, but underestimates the amounts of finer (smaller than 2-3 ${\mu}m$) fraction. Data from particle settling method, on the other hand, represent significant errors in the coarse silt (5-6 ${\phi}$) fraction, and slightly overestimate the clay fraction. In the sieve and pipette methods, best results were taken in 0.5 ${\phi}$ interval of analysis. Especially in the coarse silt fraction, pipette analysis is suggested to be made with 0.5 ${\phi}$ interval. During the dry sieving procedure in 1 ${\phi}$ interval, serious errors occur when large amounts of sample materials were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sieve.

퇴적물 입도분석 방식에 따른 분석결과의 편차를 비교하였다.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기존에 보고된 퇴적물 입도자료들은 연구기관에 따라 상당한 편차가 나타났으며, 실험실간 편차보정작업(Inter-lab calibration)이 요구된다. 퇴적물 입도분석 결과는 분석방식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레이저 회절방식은 반복측정의 정확도가 매우 우수하였지만, 2-3 ${\mu}m$보다 세립한 계층의 함량을 과소측정하였다. 이와 반면에 입자침전속도에 근거한 입도분석 방식은 조립실트(5-6 ${\phi}$) 계층의 오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점토질 함량이 다소 과다하게 측정되었다. 퇴적물 입도분석에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체질과 피켓법은 0.5 ${\phi}$ 간격의 분석작업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켓법의 경우 조립실트 계층의 영역에서 0.5 ${\phi}$ 간격의 분석작업이 요구되었다. 또한 사질 퇴적물의 체질방식에서는 하나의 체에 걸러지는 퇴적물 양에 따른 오차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