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um Immunoglobulin levels in Coal Worker's Pneumoconiosis Patients

진폐증 환자에서의 혈청 면역 글로불린의 변화

  • Yoo, Kwang-H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Ahn, Chul-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Hyung-J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Ho (Tae Baek Central Hospital) ;
  • Lee, Yong-Kyoo (Dong Hae Hospital)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Wo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유광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철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형중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호 (태백중앙병원) ;
  • 이용규 (동해병원)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2.28

Abstract

Background: Coal-worker's pneumoconiosis(CWP) is radiologically divided into two major groups: simple pneumoconiosis (SP), in which small, rounded or irregular opacities smaller than 1cm are observed, and progressive massive fibrosis(PMF), which is characterized by opacities larger than 1cm. SP has a life expectancy equivalent to miners with no radiographic evidence of CWP, but PMF is associated with more obvious impairments of ventilatory capacity and premature death. But only minority of workers develop PMF when exposed to dust concentrations similar to those experienced by workers who develop only SP. In this study, immune status in patients with CWP were evaluated by measurement of the serum immunoglobulin levels between control, SP and PMF groups. Method: Coal worker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emplyees of the Tae-Baek and Dong-Hae Hospital. All the patients were men of 45-76 years old and the mean duration of exposure to coal dust were 23.2 years. By X-ray examination, 51 patients were classified in SP, 59 in PMF category. The normal controls examined were 58 men of 26-70 years old. Serum Ig levels were estimated by using Nephelometer(Behring Nephelometer : Germany) and serum were collected 51 in SP, 49 in PMF and 57 cases in control group. Results: The levels of IgG were increased but the levels of IgM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in control group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immunoglobulin level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in control group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immunoglobulin levels between Control, SP and PMF group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ndertaken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apparent trends and estimate the effects associated with age, smoking habit and radiological category of CWP.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levels of IgG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SP group and had decreasing tendancy,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MF group. Conclusion : From the observations described, CWP patients had decreased IgG concentration compared to control gorup. Therefore, there was some relation between CWP and immunoglobulin concentration.

연구배경: CWP은 주로 석탄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발생하는 폐 실질의 병변으로 단순 흉부 방사선 소견상 폐 결절의 기준을 1cm로 하여 SP과 PMF으로 구분한다. PMF의 경우 환기 능력의 장애가 심하고 조기사망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모든 광부에서 PMF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여서 이러한 CWP의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을 찾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진폐증 환자에서 질환의 심한 정도를 ILO 분류에 따라 SP, PMF으로 구분한 후 감염이나 기타 기저 질환이 없는 상태에서의 혈중 면역 글로블린 농도를 흡연력과 연령에 의한 면역 글로불린의 변화를 고려한 후 진폐증의 심한 정도와 혈청면역 글로불린 농도와의 연관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 법: 태백 중앙 병원과 영동 병원의 진폐증 환자중 정밀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병원을 내원한 SP 환자 51명과 입원중이거나 정밀검사를 시행한 PMF 환자 5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진폐증 환자와 나이, 성별 및 흡연 병력이 적합하면서 진폐에 노출된 병력이 전혀 없는 주변 아파트 경비원과 병원내 지원자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 글로불린의 검사(IgA, IgG, IgM)는 독일 Behring사에서 제조한 각 각의 Kit를 사용하여 Nephelometer 분석기(Behring Nephelometer :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대조군 57명, SP 51명, PMF 49명의 면역 글로불린을 측정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 대조군의 나이에 따른 혈청 면역 글로불린의 변화는 나이가 증가 할수록 IgG는 의의 있게 증가 하였고 흡연력에 의한 면역 글로불린의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 SP, PMF사이의 혈중 면역 글로불린의 농도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흡연력과 나이의 영향을 고려한 다중회귀 분석에서 IgG의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SP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PMF환자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폐기능 검사의 중증도와 면역 글로불린 농도사이에는 관련이 없었다. 결 론: 흡연력과 연령을 고려한 상태에서 진폐증 환자의 혈청 면역 글로불린의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SP 환자군에서 IgG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PMF 환자군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진폐증과 IgG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되며 폐기능 검사의 중증도와 면역 글로불린과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된다. 향후에 CWP의 발생 및 진행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많은 수의 진폐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와 함께 염증세포 및 싸이토카인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