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Elderly

일지역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 Kim, Sang-Soon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상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nstrum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of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239 individuals of 65 years of age and over, living in T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from July 20 to August 30, 1998,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Pearson Correlation, t-test and ANOVA u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elderly was 2.37/5. The instrumental support(M=2.52) out of type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and the self-esteem support(M=2.18) was the lowest. 2. The shopping(M=2.89) out of IADL was the highest and the laundry(M=1.24) was the lowest. 3. The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ADL. The self-esteem support(r=.58) out of type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correlation and the instrumental support(r=.32) was the lowest correlation. 4.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ge(F=4.61), educational level(F=4.04), living with a spouse(t=3.37), pocket money(F=3.51), satisfaction of pocket money(F=5.21) were significantly resated to the Social Support scores.

본 연구는 노인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확인하고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방안의 모색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와 경북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으로 대구지역 120명과 경북지역 119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8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 까지 이다. 연구도구로는 송미순(1991)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로서 정보적 지지 6문항, 물질적 지지 5문항, 감정적 지지 5문항, 자존감 지지 4문항으로 구성된 총 20문항과 Lawton과 Bordy(1971)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측정도구 8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전체 평균점수 2.36점 이었으며, 이 중 물질적 지지가 2.52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존감 지지가 2.18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중에서 물건구입 평균점수 2.89점, 자신의 투약에 대한 책임 2.62점, 수송양식 2.22점 순으로 높았으며, 세탁일 평균점수 1.24점, 음식 준비 능력 1.58점 순으로 낮았다. 3)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중 자존감 지지(r=.58, p=.013), 정보적지지(r=.54, p=.048), 감정적지지(r=.41, p=.000), 그리고 물질적지지(r=.32, p=.000)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연령(F=4.61, p=.004), 교육정도(F=4.04, p=.002), 배우자 유무(t=3.37, p=.000) 한달 용돈 정도(F=3.51, p=.032), 용돈에 대한 만족도(F=5.12, p=.007)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특히 사회교육으로부터의 정보적지지, 용돈 등으로 부터의 물질적지지, 배우자나 사회망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와 자존감 지지가 효과적인 지지가 되므로 노인을 중심심으로 한 사회망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고취시키고 우리나라 노인에게 알맞는 지지간호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의 제언을 하고 자 한다. 1)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는 사회적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2)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유사실험연구를 시도할 것을 제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