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질진단(四象體質診斷)의 객관화(客觀化)에 관한 연구(硏究)(기존(旣存) 설문지(說問紙)의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The Study in Objectification of the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on(According to Analysis of the Past Questionnaires)

  • 김영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김종원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Kim, Young-woo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r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 Eui University) ;
  • Kim, Jong-won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r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Dong Eui University)
  • 발행 : 1999.12.31

초록

사상체질진단(四象體質診斷)에 있어 임상적(臨床的)으로 가장 많이 활용(活用)되며 또한 객관성(客觀性)이 인정(認定)되고 있는 방법(方法)으로는 설문지(設問紙)를 이용하는 방법(方法)이 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사상변증내용(四象辨證內容) 설문조사지(設問調査紙)(I)과 사상체질분류조사지(四象體質分類調査紙)(QSCC II)가 있으나, 그 체질판정(體質判定)에 있어 각기 한쪽 체질(體質)로 치우치는 경향성(傾向性)을 보이므로 인(因)하여 임상가(臨床家)에서는 그 나름대로의 가치(價値)를 지니면서도 크게 일반화(一般化)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現實)이다. 본(本) 연구(硏究)는 사상체질진단(四象體質診斷)의 객관화(客觀化)를 위한 설문지(設問紙)의 연구(硏究)로써 동의대학교(東義大學校) 한의과대학(韓醫科大學) 부속한방병원(附屬韓方病院)에 내원(來院)한 자(者) 692명(名)(종합건강진단센터 대상자(對象者) 575명(名)과 환자(患者) 117명(名) 중 설문지(設問紙)(I)과 설문지(設問紙)(II)의 설문조사(設問調査) 결과(結果)와 사상체질전공의(四象體質專攻醫)의 체질판별(體質判別) 결과(結果)가 모두 치(致)하는 250명(名) 중(中)에서 설문지(設問紙) 내용(內容)이 비교적(比較的) 충실(充實)한 200명(名)을 대상(對象)으로 설문조사(設問調査) 내용(內容)을 통계분석(統計分析)하고 이를 토대(土臺)로 새로운 설문(設問)의 구성(構成)을 시도(試圖)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게 되었다. 1. 설문지(設問紙)(I), 설문지(設問紙)(II)의 총(總) 192문항(問項)((설문지(設問紙)(I) 71문항(問項), 설문지(設問紙)(II) 121문항(問項))중에서 유의성(有意性)을 가지는 문항(問項)(P값이 최소(最小) 0.04 이상(以下))은 84문항(問項)(설문지(設問紙)(I)이 39문항(問項), 설문지(設問紙)(II)가 45문항(問項))이었다. 이중에서 서로 중복되는 항목(項目)이 22항목(項目)을 감안하연 설문지(設問紙)(I)과 설문지(設問紙)(II)의 총(總) 192문항(問項) 중(中) 체질(體質)에 따른 유의도(有意度) 검사(檢査)에 있어서 실질적(實質的)으로 유의(有意)있게 나타나는 문항(問項)은 총(總) 73문항(問項)이었다. P값이 0.001이하(以下)의 값을 보인 문항(問項)은 설문지(設問紙)(I)이 33문항(問項)이었으며, 설문지(設問紙)(II)의는 40문항(問項)으로 나타나 대체로 유의성(有意性)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2. "설문지(設問紙)를 통한 사상체질(四象體質)의 임상적(臨床的) 분류방안(分類方案) 연구(硏究)"와 "체질진단분류(體質診斷分類)에 따른 질병(疾病) 및 증상유형(症狀類型)에 관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II"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입증(立證)된 설문문항(設問問項)을 몇 가지 추가(追加)하여 총(總) 851문항(問項)의 설문지(設問紙)를 구성(構成)하였다. 각(各) 문항(問項)들을 항목별(項目別)로 나누어 살펴보면, <체격(體格)과 체형(體型)>을 묻는 문항(問項)이 7개(個) 문항(問項)이었고, <외모(外貌)(안색(顔色))와 태도(態度)>를 묻는 문항(問項)이 7개(個) 문항(問項)이었고, <습관(習慣)과 성격(性格)>을 묻는 문항(問項)이 3개(個) 문항(問項)이었고, <생리(生理)-병리상태(病理狀態)>를 묻는 문항(問項)이 3개(個) 문항(問項)이었고, <평소(平素) 건강(健康)할 때 자주 느끼는 증상(症狀)>을 묻는 문항(問項)이 4개(個) 문항(問項)이었고, <식사습관(食事習慣)>을 묻는 문항(問項)이 3개(個) 문항(問項)이었으며, <평소(平素) 잘 나타나는 증세(症勢)>를 묻는 문항(問項)이 14개(個) 문항(問項)이었고, <일처리와 장단점(長短點)>을 묻는 문항(問項)이 6개(個) 문항(問項)이었고, <대인관계(對人關係)>에 대하여 묻는 문항(問項)이 7개(個) 문항(問項)이었고, <평소(平素)의 마음>에 대하여 묻는 문항(問項)이 5개(個) 문항(問項)이었고, <감정특성(感情特性)>에 대하여 묻는 문항(問項)이 1개(個) 문항(問項)이었고, <행동특성(行動特性)>에 대하여 묻는 문항(問項)이 10개(個) 문항(問項)이었고, <성격(性格)>에 대하여 묻는 문항(問項)이 15개(個) 문항(問項)이었다. 3. 문제지(設問紙)에서 소양인(少陽人)에 해당되는 항목(項目)은 84항목(項目)이었으며, 소음인(少陰人)에 해당되는 항목(項目)은 87항목(項目)이었으며, 태음인(太陰人)에 해당되는 항목(項目)은 70항목(項目)이었다. 또한 각(各) 설문항목(設問項目)의 유의성(有意性) 검사(檢査)에서 나타난 응답율(應答率)을 점수화(點數化)하여 가산점(加算點)을 부가(附加)한 후(後) 합산(合算)한 결과(結果) 소양인(少陽人) 항목(項目)의 점수(點數) 합계(合計)는 7785.04점(點)이었고, 소음인(少陰人) 항목(項目)의 점수(點數) 합계(合計)는 7742.80점(點)이었으며, 태음인(太陰人) 항목(項目)의 점수(點數) 합계(合計)는 7746.60점(點)이었다. 4. 새로운 설문지(設間紙)(III)의 유의성(有意性)은 임상환자(臨床患者) 75명(名)의 체질진단(體質診斷)에 있어 73.33%의 진단(診斷) 정확율(正確率)을 보이고 있으 나, 소음인(少陰人)과 태음인(太陰人)에 비하여 소양인(少陽人)의 판별율(判別率)이 다소 떨어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태양인(太陽人)은 설문(設問)에서 제외(除外) 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200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in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at Dong Eui Medical Center during 9 months from Jan. 1999 to sept. 1999. We proceeded the judgment of Sasang Constitution according to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 and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QSCCII)' and the diagnosis by a medical specialist.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made in comparison with Sasang Constitution and Questionnaire. 1. We selected the 84 subjects what had the statistical value out of the 196 subjects('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 had the 71 subjects and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QSCCII)', had the 121 subjects). And we selected again the 73 subjects('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 had the 33 subjects and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QSCC II)' had the 40 subjects) out of the 84 subjects, because it had a repeated subjects. 2. We made the Questionnaire what has the 85 subjects, including the subjects what was approved its statistical value by 'A CLINICAL STUDY OF THE JUDGMENT OF SASANG CONSTITUTION ACCORDING TO QUESTIONNAIRE' and 'A CLINICAL STUDY OF THE TYPE OF DISEASE AND SYMPTOM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subject what ask the physique and the body form was 7, the subject what ask the external appearance and the posture was 7, the subject what ask the habit and the character was 3, the subject what ask the physiology and the pathology was 3, the subject what ask the phenomenon that he has frequency was 4, the subject what ask the eating was 3, the subject what ask the symptom that he has frequency was 14, the subject what ask the work and the qualities-defects was 6, the subject what ask the friendly intercourse was 7, the subject what ask the usual mind was 5, the subject what ask the emotional inclination was I, the subject what ask the behavioral inclination was 10, the subject what ask the character was 15. 3. In the new Questionnaire, the subject what has relevance to Soyang was 84, the subject what has relevance to Soeum was 87, the subject what has relevance to Taeeum was 70. And we made the point of subject with the statistical ratio. The total point of Soyang was 7785.04, the total point of Soeum was 7742.80, the total point of Taeeum was 7746.60. 4. As a result of judgment of Sasang Constitution between the clinical diagnosis by a medical specialist and the new Questionnaire, the diagnostic accuracy of new Questionnaire was 73.33%. The diagnostic accuracy of Soyang was low, the others was high. And the Taeyang was excepted.

키워드

참고문헌

  1. 八象體質針 東義科學院(編著)
  2. 알기쉬운 四象醫學 宋一炳
  3. 四象醫學 宋一炳(외)
  4. SAS를 이용한 통계자료분석 송문섭(외)
  5. 침도원류중마 李炳莘
  6. 實際的 東醫四象診療의 秘訣 李泰浩(외)
  7. 四象醫學原論 李濟馬
  8. 東醫壽世保元 李濟馬
  9. 경희한의대논문집 v.6 no.1 유형제질감별의 면역혈청학적 연구 梁基相
  10. 경희한의대논문집 v.20 no.1 사상체질 유형별 양도락 측정치에 대한 고찰 성삼재;송일병;고병희
  11. 대한한의학회지 v.6 no.1 사상체질변증에 관한 소고 고병희;송일병
  12. 대한한의학회지 v.8 no.1 사상체질변증방법론연구(제2보) 고병희;송일병
  13. 대한한의학회지 v.14 no.2 적외선체열촬영진단기를 이용한 체질분류와 병리진단에 관한 임상적 연구 지규용;최승훈;안규석;문준전
  14. 四象醫學會誌 v.1 no.1 四象醫學의 槪要 朴寅商
  15. 四象醫學會誌 v.4 no.1 四象人의 形態學的 圖式化에 관한 硏究 허만회(외 3인)
  16. 四象醫學會誌 v.5 no.1 사상체질분류검사(QSCC)의 타당화 연구 김선호;고병희;송일병
  17. 四象醫學會誌 v.5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의 준거타당화 연구 이정찬;고병희;송일병
  18. 四象醫學會誌 v.7 no.1 EAV의 측정치와 병증유형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주석;송일병
  19. 四象醫學會誌 v.7 no.1 계측기를 이용한 O-RING TEST법의 검증에 관한 연구 김정렬;김달래
  20. 四象醫學會誌 v.7 no.2 EAV의 측정치와 사상체질유형 및 중풍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김종원;고병희;송일병
  21. 四象醫學會誌 v.7 no.2 사상변증내용 설문 조사지(1)의 타당화 연구 이의주;고병희;송일병
  22. 四象醫學會誌 v.8 no.1 사상체질별 두면부의 형태학적 특징 고병희;조용진;최창석(외 6인)
  23. 四象醫學會誌 v.8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Ⅱ)의 표준화 연구 김선호;고병희;송일병
  24. 四象醫學會誌 v.8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지 (QSCCⅡ)의 타당화 연구 이정찬;고병희;송일병
  25. 四象醫學會誌 v.8 no.1 신체계측 및 겸사소견을 중심으로 한 사상인의 특징에 관한 분석 이수경;이의주;홍석철;고병희
  26. 四象醫學會誌 v.8 no.2 유전자지문법을 이용한 사상체질의 유전적 분석 연구 조동욱;이창수;고병희;조황성
  27. 四象醫學會誌 v.9 no.2 체질진단의 객관화에 관한 연구-생화학적 분석자료를 중심으로- 조황성;지상은;이의주(외 5인)
  28. 四象醫學會誌 v.9 no.2 Amp-FLP을 이용한 사상체질의 유전적 분석 연구 조동욱;안선경;김도균(외 6인)
  29. 四象醫學會誌 v.9 no.2 사상체질과 혈중 Prostaglandin E2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종원
  30. 四象醫學會誌 v.10 no.1 성문법석법에 의한 사상체질 진단의 객관화 연구(1) 김달래;박성식;권기록
  31. 四象醫學會誌 v.10 no.1 사상체질 유형과 지문, 손바닥문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박성식;최재영;정민석(외 6인)
  32. 四象醫學會誌 v.10 no.1 체간부의 사상체질별 형태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홍석철;이수경;이의주(외 5인)
  33. 四象醫學會誌 v.10 no.1 한국인 신체분절에 관한 四象醫學적 연구 이의주;이재구;김정연;송정모
  34. 四象醫學會誌 v.10 no.1 사상체질별 상안부의 형태학적인 특징에 관한 연구 홍석철;이의주;송일병
  35. 四象醫學會誌 v.10 no.1 사상체질진단의 객관화를 위한 형태학적 연구 홍석철;이의주;이수경;한기환;고병희;송일병
  36. 四象醫學會誌 v.10 no.1 設問紙를 통한 四象體質의 臨床的 分類方案 硏究 김영우;김종원
  37. 四象醫學會誌 v.10 no.2 사상인의 형태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의주;고병희;송일병
  38. 四象醫學會誌 v.10 no.2 사상체질유형과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유전자 Type(polymorpgism)과의 상관관계 최승훈;임용빈;이준우(외 2인)
  39. 四象醫學會誌 v.11 no.1 設問紙에 의한 四象體質 判定의 致度 分析 박성식;박은경;최재영
  40. 四象醫學會誌 v.11 no.1 體質診斷分類에 따른 疾病 및 症狀類型에 관한 臨床的 硏究Ⅱ (문진표를 중심으로) 김영우;김종원
  41. 의림지 v.통권 no.147 四象頭部觸診法 朴奭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