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Mapping of the Human Visual Cortex Using Electrical Cortical Stimulation and Flash Visual Evoked Potentials

전기극 뇌자극과 광시각 유발전위 검사를 통한 인간의 시각 피질에서의 기능적 분화 양상

  • Lee, Hyang Woon (Department of Ne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eung Bong (Department of Ne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eo, Dae Won (Department of Ne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Tae, Woo Suk (Department of Ne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eung Chyul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이향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삼성의료원 신경과) ;
  • 홍승봉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삼성의료원 신경과) ;
  • 서대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삼성의료원 신경과) ;
  • 태우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삼성의료원 신경과) ;
  • 홍승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삼성의료원 신경외과)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 시각 인지 과정은 영장류 실험을 통하여 다소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인간에서는 아직 완전하게 이해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자극과 시가유발전위 검사를 토대로 인간의 시각피질의 기능적 분화와 시간 순으로 활성화되는 양상을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 간질 수술을 위하여 후두엽과 인접 부위에 광범위하게 피질하전극을 넣은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기적 뇌자극과 시각유발전위 검사를 시행하였다. 뇌자극시 나타나는 반응은 형태, 색, 및 움직임의 세 가지로 크게 나누고 형태는 다시 단순, 중간 및 복잡한 형태로 세분하였다. 시각유발전위는 P1 혹은 IV파의 latency를 측정하였다. 결과 : 단순 혹은 중간 형태는 흔히 occipital pole과 striate cortex에서 발생하였다. 색반응은 후두엽의 기저부 즉, fusiform, lingual, inferior occipital gyri를 자극할 때 관찰되었다. 움직임 반응은 내측기저부 및 외측의 측후두엽 혹은 측두정후두부의 경계부에서 주로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시각피질이 시각의 여러 가지 구성성분 즉, 형태, 색, 및 움직임에 대해서 각각 별도로 분화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한 시각자극이 전해지면 striate cortex와 occipital pole이 가장 먼저 활성화되고 이어서 내측 및 외측 후두엽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하여 보면 인간의 시각피질은 시각의 여러 구성성분별로 별도로 발달된 해부학적 경로를 통하여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특수하게 분화된 뇌세포에서 시각정보를 각각 분석하되 일정한 시간순서에 의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Samsung Medical Center and Samsung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