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반의 토양조성과 토양심도가 중엽형들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ixtures and Soil Depths on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for the Artificial Planting Ground

  • 이은엽 (청주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 문석기 (청주대학교 조경학과)
  • Lee, Eun-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Chongju University) ;
  • Moon, Seok-K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gju University)
  • 투고 : 1999.06.01
  • 발행 : 1999.06.30

초록

인공지반의 환경조건에 적합한 토양을 개발하기 위해 토양종류(9종류)와 토심(10cm, 15cm, 20cm - 토양 5종류)을 달리했을 때의 들잔디의 생육상태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아율(발아개체수)은 밭흙에서 가장 저조하고, 공극률과 투수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버미큘라이트와 모래를 혼합한 토양(VSS, VSS, VS)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발병율(발병개체수) 역시 공극률과 투수능력이 상대적으로 불량한 밭흙에서 가장 높고, 버미큘라이트를 주재료로 한 V, VSH 토양에서 낮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통기성과 투수능력이 양호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 생육상태(초장)는 버미큘라이트+모래+부숙톱밥을 혼합한 VSH, VSS 토양에서 좋았고 버미큘라이트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들잔디의 수직 생장효과(초장)가 토양의 물리적성질(통기성, 투수율 등) 외에도 유기질계의 토양개량재에 의해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피복율은 발병율(발병 개체수)이 높고 발아세가 초기부터 불량했던 밭흙에서 가장 저조했으며, VSH(버미큘라이트20%+모래70%+부숙톱밥10%), VSS(버미큘라이트40%+모래50%+부숙롭밥10%) 토양에서 월등히 높았다. 5. 황변율은 VS(버미큘라이트70%+모래30%) 등 버미큘라이트 혼합토양에서 비교적 높고, SCS, SHS 등 유기질계 토양개량재 혼합율이 높은 토양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6. SCS(밭흙50%+훈탄30%+모래20%), SHS(밭흙50%+부숙톱밥30%+모래20%) 혼합토는 인공지반 녹지의 푸른기간 연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토심에 따른 들잔디의 생육은 대체적으로 토심 10cm보다는 토심 15cm, 2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간의 통계적인 유의차이가 토양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생육상태의 특성이 토심 뿐만 아니라 토양종류에도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수평생장(피복율)의 측정결과 토심 15cm구와 20cm구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토양종류에 따라서는 토심 15cm이 생존에 필요한 최소토심만이 아니라 생육상태도 양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종류에 따라서는 들잔디의 생육에 양호한 토심을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7. 토심에 따른 들잔디의 생육은 대체적으로 토심 10cm보다는 토심 15cm, 20cm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아율(발아개체수), 수평생장(피복율), 황변율의 측정결과 토심 15cm구와 20cm구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토양구성에 따라서는 토심 15cm가 생존에 필요한 최소토심만이 아니라 생육상태도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8. 본 연구결과는 현재까지 실시된 토양분석과 단기간의 들잔디의 생육결과이므로 인공지반의 토양구성과 들잔디의 생육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o develope appropriate soil base for planting on the artificial ground, 9 kinds of soil types(varying the components and mixing ratios) and 3 levels of soil depths(10cm, 15cm, 20cm) were chosen. And their plant growing effects were tested and analysed from the test plant Zoysia japonic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Among the 9 type of soil mixtures, the "sandy loam" soil type gave the worst effects on germination, disease contamination and ground covering. 2. The soil types like VSH(vermiculite20%+sand70%+humus sawdust10%), VSS(vermiculite 40%+sand 50%+humus sawdust 10%) and VS(vermiculite 70%+sand 30%), where vermiculite and sand were added to, show better germination effect promoted from the better condition of aeration and saturation. 3. The plant growing effects(leaf length and ground covering ratio) was evident under the soil types like VSH(vermiculite20%+sand70%+humus sawdust10%) and VSS(vermiculite40%+sand50%+humus sawdust10%), where organic matters were added to. 4. Vermiculite added soil types effect fast leaf decolorization on the tested Zoysia japonica plant, on the contrary to organic matter mixed soil types including SCS(sandy loam 50%+carbonized rice husk30%+sand20%) and SHS(sandy loam 50%+humus sawdust30%+sand20%) with which green leaves subsist longer. S. Soil depth effect to plant growth was found. And a favorable covering rate was accomplished even at the soil depth of 15cm - the limit soil depth for grass survival - from the soil types where organic matters were mixed to. From this result, the soil depth limit for plant survival could be said to be shall owed if appropriate soil type were ba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