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 among Vehicle Assembly Workers

자동차 조립 작업자들에서 상지 근골격계의 인간공학적 작업평가(Rapid Upper Limb Assessment) 결과와 자각증상과의 연관성

  • Kim, Jae-Young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for Environmental Health,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Hae-Joo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for Environmental Health,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i, Jae-Wook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stitute for Environmental Health,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김재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환경의학연구소) ;
  • 김해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환경의학연구소) ;
  • 최재욱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환경의학연구소)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 in vehicle assembly line worker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feasibility of RULA as a checklist for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MSDs) in Korean workers. Methods. The total number of 199 people from the department of assembly and 115 people from the department of Quality Control(QC) in automotive plant were subjects for this cross sectional study. A standard symptom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used fo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history, musculosketal symptoms and non-occupational covariates. The data were obtained by applying one-on-one interview for the all subjects. RULA has been applied for ergonomic work posture analysis and the primary ergonomic risk sure was computed by RULA method. Association between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ULA were assess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total of 314 workers was examined.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by NIOSH case definition was 62.4%. The distribution of musculoskeletal symptoms by the part of the body turned out to be following; back:41.4%, neck: 32.8%, shoulder: 26.4%, arm: 10.5% and hand:29.3%. The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 RULA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s the result of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in analysis, grand final score (OR=2.250 95% CI: 1.402-3.612) wa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in any part of the body.; upper arm score(OR=1.786 95% CI: 1.036-3.079) and posture score A(OR=1.634 95% CI: 1.016-2.626) in neck; muscel use score(OR=3.076 95% CI:1.782-5.310) and posture score A(OR=1.798 95% CI: 1.072-3.017) in shoulder; upper arm score(OR=1.715 95% CI: 1.083-2.715) and muscel use score(OR=2.057 95% CI:1.303-3.248) in neck & shoulder; muscle use score(OR=10.662 95% CI: 3.180-35.742) in arm; writst/wist score(OR=2.068 95% CI: 1.130-3.786) and muscle use score(OR=2.215 95% CI: 1.284-3.819) in hand & wrist.; muscle use score of trunk (OR=2.601 95% CI: 1.147-5.901) in back. Conclusions.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extremitie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RULA body score. These results show that RULA can be used as a useful assessment tool for the evaluation of musculoskeletal loading which is known to contribute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RULA also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or incorporated into a wider ergonomic assessment of epidemiological, physical, mental,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 shown in this study, complement of the analysis system for the other risk factors and characterizing between the upper limb and back part will be needed for future work.

본 연구는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를 이용하여 자동차 조립작 업에 대한 인간공학적 작업평가를 하고, 이 결과와 작업관련 상지 근골격계 질환의 자각증상율 및 작업특성 변수들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RULA결과가 관련 신체부위의 통증이나 불편함으로 보고되는 근골격계 부하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지, RULA평가체계를 이용하여 작업 위험도가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자동차 제조업 작업자 314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설문과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IOSH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감시기준(surveillence criteria)에 따라 자각증상을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자 중 목 32.8%, 어깨 26.4%, 팔 10.5%, 손 29.3%, 허리 41.4%였으며, 한가지 이상 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62.4%의 분포를 보였다. 2. 품질관리부에 비해 조립부서 작업자 틀이 전체 증상과 어깨, 허리, 팔 및 손부 위 증상에서 더 높은 유증상률을 보였다(p<0.05). 3. 부서별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 결과, 서브/조립반과 의장반의 공정이 높은 위험점수를 보였다. 전체 조립부서에 대한 평가결과 적합한 작업은 3.02%였고, 62.8%가 부적합한 작업으로 작업전환이나 중재조치가 필요한 경우였다. 자각증상과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 결과를 비교한 결과 RULA점수가 클수록 자각증상율이 높음을 보였다.(p<0.05) 4. RULA평가지표와 자각증상사이의 관련성을 보기 위하여, RULA지표와 기타 작업관련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자각증상유무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증상유무를 가장 잘 설명하는 회귀모형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증상군에 대해서는 반복작업(OR 2.183), 진동공구 사용(OR 2.775)과 총 위험도 점수(OR 2.250); 목 부위 증상군에서는 상완의 자세점수(OR 1.786), 상완 및 손부 위의 총점수(OR 1.634) ; 어깨 증상군은 상지의 근사용(OR 3.076), 상완 및 손부 위의 총점수(OR 1.798); 어깨와 목 부위를 합한 증상군은 상완 및 손부위의 총점 수(OR 1.715)와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2.057); 팔 증상군에서는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10.662) ; 손 부위 증상군에 대해서는 손목의 자세/손목 비틀림 지표 (OR 2.068)와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2.215); 허리부위 증상군에서는 하지의 근사용 점수(OR 2.6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작업관련 상지근골격계 자각증상과 RULA 점수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RULA가 직업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근골격계 부하에 폭로된 작업자들을 평가하는, 일차적인 작업 위험도 평가도구(Screening tool)로서 쓰일 수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향후 RULA 사용에 있어서 상지(upper limb)와 허리부위(back)의 평가를 구분하고, 기타 다른 작업관련 요인들에 대한 평가체계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