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gicidal Bacteria KY1

살조세균 KY1의 분리와 특성조사

  • PARK Keun-Young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Mi-Ryung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Koo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9.07.01

Abstract

Algicidal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mud of south coastal sea of Korean peninsula and screened to evaluate algicidal activity on Cochlodinium polykrikoides.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highest algicidal activity was determined, The optimum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for algicidal activity of isolated algicidal bacteria was $3\%$. The optimum temperature, pH and culture time for the highest algicidal activity were $30^{\circ}C$, pH 7 and above 24 hr, respectively. The algicida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stationary phase of the cell growth and continuously increased up to maximum at the death phase, probably due to the release of algicidal substance by cell Iysis. The effect of zinc ion addition on algicidal activity, was observed and indicated that the substance requires zinc for its activity. The candidate for the algicidal substance may be $\alpha$-mannosidase.

적조 현상이 나타난 남해안 연안의 뻘로부터 Cochlodinium polykrikoides에 대한 살조능을 가지는 살조 세균 KY1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살조 세균 KY1이 살조능을 나타내는 최적 조건은 $30^{\circ}C$, 염농도 $3\%$, pH 5 이상의 중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약 8 시간의 배양에서 대수 증식의 최대 성장률을 보였으며, 이후 사멸기 까지 배양 시간 24 시간 경과 후부터 높은 살조능을 나타내었다. 살조능은 대수증식기에서 정지기로 넘어갈 때,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사멸기에서는 최대 $100\%$에 달하는 살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살조 세균이 분해되면서 균체내에 존재하는 살조물질을 분비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배양 상등액의 양을 증가시켰을 때, 1 시간 이내에 $40{\mu}{\ell}$/ml의 농도에서 $100\%$의 살조능을 볼 수 있었다. $Zn^{2+}$의 첨가로 살조능의 현저한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살조물질은 C. polykrikoides의 세포벽 성분인 mannan을 분해하는 $\alpha$-mannosidase일 가능성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