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xiety, Depression and Pressure Pain Threshold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환자의 불안 및 우울 증상과 압통역치 간의 비교 연구

  • Kim, Eun-You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Na, Chul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Nam, Bum-Woo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Cho, Ju-Youn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김은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용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 나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용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 남범우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용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 조주연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용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6.15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nxiety & depression symptoms and pressure pain threshold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n=23)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symptoms and the pressure pain threshold scores. And this wa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 subjects(n=18). The scores of pressure pain threshold were checked with algome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PTSD patients showed higher scores of anxiety & depression symptom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contrast with our hypothesis, pressure pain threshold in PTSD patient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may be derived from following factors. First, chronic depression has influenced the pain perception of patients with PTSD rather than anxiety symptoms, second, abnormal state of the opiate system in PTSD patients, third, the sick role of the PTSD patients, fourth, the socio-environmental factor of the PTSD patients. In conclusion, affective symptoms, especially depression, were related to the chronic pain in patients with PTSD, however, the causality of elevated pressure pain threshold was uncertain in this study. To understand more clearly the relation between affective symptoms and chronic pain, it will be necessary to control the other specific factors.

본 연구에서는 불안과 우울감과 같은 정서상태가 만성적인 통증 인지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PTSD 환자군의 압통에 대한 역치와 불안증상,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였고, 불안, 우울증상의 정도와 압통역치의 상관관계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 환자군은 1997년 10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필동병원 및 용산병원 신경정신과에 입원한 환자와 외래환자들 중에서 PTSD에 진단된, 20-60세에 해당되는 성인 남자환자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TSD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은 우울증상과 불안증상을 보였다(p<.05). 2) 압통에 대한 역치는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p<.05). 이런 결과를 보인 요인으로는, 환자군의 불안증상보다는 만성적인 우울증상이 통증역치의 증가에 부분적으로나마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외에 환자군에서의 opiate system의 이상, 환자군의 질병역할, 환자군이 처한 여러 사회환경적인 상황의 영향 등과 같은 여러 요인이 관련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PTSD의 만성 통증은 감정, 특히 우울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였으나, 그 인과관계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미흡한 점들이 있다. 앞서 언급한 여러 제한점들을 보완한 향후 연구를 통해 정서적 증상과 동통과의 보다 특이적인 연관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