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gnificance of 24-Hour Esophageal pH Monitoring in Children with Recurrent Vomiting or Regurgitation

반복성 구토 또는 역류증 환아에서 24시간식도 산도 측정의 의의

  • Lee, So-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Chang-Han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Ki-Sup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소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창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기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1999.08.26
  • Accepted : 1999.09.07
  • Published : 1999.09.30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24 hour pH monitoring in the pediatric patients with recurrent vomiting or regurgitation. Methods: We performed 24 hour pH monitoring on 87 pediatric patients with recurrent vomiting or regurgitation using GastrograpH with glass electrode. The pathologic GER was determined by the reflux index (RI). RIs>10% were considered positive in patients <1 year of age, whereas RIs of >5% were positive in other age groups. We evalu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flux parameters between physiologic and pathologic GER groups, and also compared the reflux indices of each group with respect to time zones of the day. Results: Pathologic GER was found in 32 of 87 patients (36.8%), and the age incidence included 32.5% in infants <6 months old, 13.3% in infants aged 6 months-1 year old, 61.5% in children aged 1~2 years old, 14.3% in children aged 2~3 years old and 66.7% in children >3 years old. In physiologic GER patients, the RI was $3.7{\pm}2.9%$ for the patients <1 year old (group A), and $1.8{\pm}1.5%$ for those ${\geq}1$ year old (group B)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2 age groups (p=0.02). The number of long refluxes more than 5 minu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3) in group A ($1.7{\pm}1.9$) than in group B ($0.8{\pm}1.0$). The duration of the longest reflux was significantly longer (p=0.007) in group A ($604{\pm}551$ sec) than in group B ($275{\pm}296$ sec). In pathologic GER patients, the RI was $17.7{\pm}11.6%$ for the patients <1 year old and $7.8{\pm}2.9$ for those ${\geq}1$ year old. The number of long refluxes of more than 5 minutes were $8.9{\pm}4.6$ and $3.2{\pm}1.8$, and the duration of the longest reflux were $1955{\pm}2190$ sec and $1093{\pm}706$ sec for each age group. In both physiologic and pathologic GER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I among the time zones of the day. Conclusion: Pathologic GER was found in 36.8% of pati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RI between those <1 year old and those ${\geq}1$ year old in physiologic GER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I among the time zones of the day in both pathologic and physiologic groups. In our study, the frequency of pathplogic GER was too much higher in age group of 1~2 years old (61.5%) than in group of 6 months-1 year old (13.3%), which means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pathologic criteria of RI (Vandenplas criteria is >5%) in the age group of 1~2 years old.

목 적: 소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는 대부분 생리적 위식도 역류에 기인하지만 치료가 필요한 병적인 역류와 감별이 필요하다. 병적 역류의 진단에 이용되는 24시간 식도산도 측정의 임상적 의의와 더불어 역류지표들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들 중 glass electrode 및 GastrograpH (MIC, Switzerland)를 이용하여 24시간 식도 산도측정을 시행한 87례를 대상으로 병적 역류의 연령별 빈도를 알아보고,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의 역류 지표들의 평가와 더불어 두 군내에서의 하루중 시간대 별 역류 지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총 87명 중 병적 역류 환아는 32명(36.8%) 였으며, 연령별로는 6개월 미만에서 32.5%, 6개월~1세 사이 13.3%, 1~2세 사이 61.5%, 2~3세 사이 14.3%, 3세 이상에서는 66.7%에서 병적역류를 보였다. 생리적 역류군에서 총 역류지수는 1세미만에서 $3.7{\pm}2.9%$, 1세 이상에서 $1.8{\pm}1.5%$로 1세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p=0.02)를 보였으며, 하루 시간대별 1세 전후의 역류지수는 아침시간대에서만 1세 이하군이 의의 있게(p=0.04) 높았다. 역류횟수는 각각 $118{\pm}150$, $108{\pm}104$회로 1세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분 이상 지속된 역류횟수는 1세 전후에서 각각 $1.7{\pm}1.9$, $0.8{\pm}1.0$회로 1세이하에서 유의하게(p=0.03) 많았으며, 가장 긴 1회 역류시간은 1세 전후에서 각각 $604{\pm}551$초, $275{\pm}296$초로 1세 이하에서 유의하게(p=0.007) 길었다. 병적 역류군에서 총역류지수는 1세 미만에서 $17.7{\pm}11.6%$, 1세 이상에서$7.7{\pm}2.9%$였고 역류횟수는 1세 전후에서 각각 $365{\pm}224$, $294{\pm}202$회였으며, 5분 이상 지속된 역류횟수는 $8.9{\pm}4.6$, $3.2{\pm}1.8$회였다. 가장 긴 1회 역류시간은 1세 전후에서 각각 $1955{\pm}2190$초, $1093{\pm}706$초였다.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 각각에서 하루 시간대 사이의 역류 지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glass electrode 및 GastrograpH를 이용한 24시간 식도 산도 측정 검사상 1세 미만에서는 역류 지수 10%, 1세 이상에서는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병적 역류는 36.8%에서 관찰되었다.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의 시간대별 역류 지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병적 역류군의 역류발생빈도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크며, 특히 1~2세 사이의 환아에서 그 비율이 현저히 높았고, 또한 1세 전후의 역류지수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므로, 향후 보다 많은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1~2세 사이의 병적 역류의 기준 역류 지수를 5~10% 사이에서 더 세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