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onal Identity and Community Paper: A Search for Subject and Method of Geographical Research

지역정체성 연구와 지역신문의 활용 -지리학적 연구주제의 탐색-

  • Lee, Young-Min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Ewha Wormans University)
  • Published : 1999.12.31

Abstract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each region in Korea has experienced deep subordination to the center of Seoul and the increase of colonization possibility by world capital.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situation, above all, th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daily life and life spac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is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y on life space. It is because of the reason that life space, or small-scale region has drawn wide attention in the research of geography in recent years. Especially, humanistic geography and new regional geography have developed the concerning theory and methodology, and kept going on the research of small-scale regions. Generally speaking, there have been quite large amount of theoretical discussions on small-scale region in recent years in the field of geography. Empirical researches focusing on a particular small-scale region, however, have been rarely made. It seems related to the deficiency of data materials and the obscurity of research framework of small-scale regional geography. A community paper must be very helpful for the geographic research on small-scale region. As community paper is published based on county('gun'), small or mid-size city('si'), or district of large city('gu'), it deals with small news and daily life information closely attached to the region. Accordingly, it functions as a medium of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It is also a valuable source material for the validation of regional identity and for the analysis of identity-shaping mechanism. The geographic interests in community paper, first of all, should be taken shape by the work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periodic change of publication situation of community papers in Korea. Another research subject on community paper is the 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y analyzing the news and the advertisements. The news in community paper must be a valuable data source of regional studies in geography. Also, the regional identification process of community people through the community paper could be and should be explored, and how the regional centrality, or self-generation based on the identity is achieved will be an important subject.

한국의 지역사회는 근대화 및 세계화시대를 거치면서 중앙에의 종속성 심화와 세계자본에의 식민화 가능성 증대라는 위기의 상황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일상생활과 생활공간에 있어서의 대응 전략이 요망되며, 그러한 전략 개발의 바탕이 되는것이 바로 지역정체성의 확립이다. 최근 지리학계에서 소지역, 즉 일상생활공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소지역연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은 많이 있어 왔으나, 구체적인 소지역을 대상으로 한 경험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데, 이는 연구를 위한 자료와 방법의 제한성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지역신문은 대체로 행정구역상 군, 중소도시, 대도시의 구 단위의 소지역에서 발간되는 신문으로, 지역에 밀착된 작은 뉴스들이나 생활정보 등을 주요 기사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지역신문은 지역정체성을 확인하고, 그 형성 메카니즘을 분석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인 것이다. 지역신문에 관한 지리학적 관심은 우선 지역신문의 지리적 분포 현황과 그 시기별 변천을 추적, 정리하는 작업으로부터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의 성격을 밝히기 위한 정보원으로써도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역신문을 통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통합 과정과 이를 배경으로 한 지역의 중심성, 흑은 자생력의 확보 여부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