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입모중(立毛中) 보리 산파재배시(散播栽培時) 적정 입모수(立毛數) 설정 및 둑새풀 발생의 영향

Estimation of Seedling Stands and Influence of Water Foxtail in Barley Broadcasted before Rice Harvest

  • Ju, Jung-Il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Lee, Hee-Bong (Dept. of Agronomy,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Chul-Woo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발행 : 1999.06.30

초록

벼 입모중(立毛中) 보리 산파재배법은 파종노력 절감, 적기파종 및 포장조건 불량시 대체파종 등의 장점이 있지만 관행에 비하여 수량성이 낮고 연차간 변이(變異)가 큰 특징이 있다. 수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재배안전성(栽培安定性)을 높이는 관리기술이 요구되는데 우선 입모 확보와 둑새풀 방제체제 확립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입모율(立毛率) 향상시킬수 있는 요인, 다수확을 위한 적정 입모수 설정 및 둑새풀에 의한 감수정도 등을 구명코자 대전에서 올보리를 공시하여 벼 수확 1일전에 파종하고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볏짚피복과 진압에 의하여 출현율이 향상되었는데 볏짚피복효과가 진압효과에 비하여 높았고 추가진압으로 11% 증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2. 단위 면적당 적정보리 입모수(立毛數)는 507개/$m^2$로 측정되었다. 3. 둑새풀 발생이 많을수록 수량이 감소되었는데 $m^2$당 17~22본 발생시 21.8%, 6~11본 발생시 11.0%가 각각 감수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appropriate seedling stand and to find out the factors of good establishment and the reason of the reduction of yield by water foxtail. The seedling stands was improved by the ice straw mulching and treading by the tracks of combine. The effect of mulching was higher than the treading. The appropriate seedling stands for example yield were estimated about 507 plants per $m^2$ and its yield was 24kg/10a. The higher density of water foxtail, the less the grain yield; 21.8% by 17 to 22 water foxtail stands per $m^2$ and 11.0% by 6 to 11 pla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