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scopic Cannulated Screw Fixation Technique for Avulsion Fracture of the Intercondylar Eminence of the Tibia

삽관 나사못(Cannulated screw)을 사용한 경골 과간 융기부 견열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기법

  • Lee, Kee-Byoung (Department of Orthropaedic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
  • Chang, Ho-Guen (Department of Orthropaedic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
  • Lee, Seok-Beom (Department of Orthropaedic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
  • Moon, Young-Wan (Department of Orthropaedic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
  • Kang, Ki-Hoon (Department of Orthropaedic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
  • Lee, Wook-Hyung (Department of Orthropaedic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 이기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장호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석범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문영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강기훈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욱형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Avulsion fractures of the intercondylar eminence of the tibia are not uncommon. In the displaced avulsion fracture, anatomical reduction and firm fixation of fracture fragments are needed but the most of the conventional operative techniques including arthroscopic technique are relatively complex and need. The results were not always satisfactory due to the risk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wound infection, premature epiphyseal closure and loss of fixation after early motion etc. So we describe a simple and safe modified method of arthroscopic reduction and fixation for avulsion fractures of the intercondylar eminence of the tibia. In our thirteen cases, we achieved anatomical reduction and secure fixation using cannulated screw through the three arthroscopic portals (anterolateral, medial mid-patellar and central). Postoperatively, immediate limited range of motion of the knee and partial weight bearing were possible. Additional use of the washer afforded safe fixation of comminuted avulsion fracture. The advantage of this technique includes its technical simplicity, easy removal of hardware, ability to treat comminuted type IV fracture with washer, no additional skin incision, no damage to growing plate in growth children and less morbidity.

경골 과간 융기부의 견열 굴절은 비교적 드물지 않게 관찰되는 손상으로, 전위된 견열 골절편은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고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관절경적 수술 방법을 포함한 대부분의 잘 알려진 수술 방법들은 비교적 복잡한 수술 기법과 정교한 수술 술기를 필요로 하며, 이에 따른 수술 시간의 지연과 수술 합병증으로 창상 감염, 조기 성장판 폐쇄 및 조기 관절 운동을 제한하는 고정력의 소실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전외측 및 중앙부, 내측 mid-patella 입구를 사용한 관절경적 기법을 이용하여, 골편의 정복에 삽관 나사못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짧은 수술 시간 안에 만족스런 정복과 고정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술 후 조기에 능동적 관절 운동을 허용할 수 있었다. 또한 분쇄 골절의 경우 와셔를 사용함으로써 만족스런 고정을 얻을 수 있었다. 저자들의 방법은 수술 기법의 용이함과 금속 제거 시의 안전성, IV형 분쇄 골절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점, 추가적인 피부 절개가 필요없다는 점, 성장기 소아에서 성장판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